거짓 말을 하지않도록 자녀를 훈련 시킨다  Train your child not to lie 

posted in: Pediatric News | 0

거짓 말을 하지않도록 자녀를 훈련 시킨다

Train your child not to lie 

  • 거짓말은 정말로 나쁜 것인가. 

  • 거짓말을 하지 않고 살 수 있을까. 

  • 거짓말을 조금 하는 사람들은 거짓말을 많이 하는 사람들보다 도덕 윤리적으로 더 나은 사람들인가. 

  • 거짓말의 정도를 자로 재거나 저울로 달아 거짓말의 경중을 분별할 수 있을까. 

  • BC 4세기 희랍 디오지니스(Diogenes)는 일생동안 대낮에도 등불을 켜고 정직한 사람을 찾아 다녔지만 진짜로 정직한 사람을 하나도 찾지 못했다. 

  • 성인 소크라테스는 진실하게 사는 법을 젊은이들에게 가르쳤다는 “죄”로 사형장에서 사라졌다. 

  • 정직함은 그 시대 소아청소년들과 젊은이들에게 나쁜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었다(출처: Love each other by Leo Busgaglio p.75). 

  • 1969 미 타임지 연구에 의하면 미국 사람들 10명 중 6명은 필요할 때는 거짓말을 해도 된다고 응답했다. 

  • 그럼 우리 부모들은 자녀들의 거짓말을  어떤 시각으로 보나. 

  • 우리  삶은 정직성에 토대를 두어야 한다는 것은 누구도 동감할 것이다. 

  • 우리들은 자녀들에게 정직하게 살라고 가르치고 정직하게 살도록 자녀들을 훈련시켜야 한다. 

거짓말이란 

  • 남을 속이기 위해 꾸민 말을 거짓말이라 한다. 

거짓말과 참말을 분별할 수 있는 나이

  • 4세 이전 유아들의 대부분은 자기들이 한 행동과 말을 부모가 얼마나 좋아하느냐 얼마나 좋아하지 않느냐에 기준을 두고 주로 행동하고 말하는 것이 보통이다. 

  • 4세 이전 영유아들은 자기들의 행동이나 말을 옳게 하지 않았는데도 엄마나 아빠가 그들이 한 행동이나 말을 좋아하고 그들이 한 말이나 행동을 인정해주면 자기가 한 언행이 옳은 것으로 간주한다. 

  • 또 엄마나 아빠가 자기의 언행을 좋아하지 않고 인정해주지 않으면 그들이 비록 옳게 행동하고 옳게 말을 했더라도 자기의 언행이 잘못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 이와 같이 부모에게 자기의 언행이 만족하느냐 만족하지 않느냐에 따라 그들은 부모들을 위해 주로 말을 하고 행동 하는 것이 보통이다. 

  • 초등학교 입학하기 바로 전부터 유아들의 대부분은 “사실”이 무슨 뜻인지 “허위”가 무슨 뜻인지, 또 “참말”과 “거짓말”의 뜻을 확실히 분별하기 시작한다. 

  • 이런 이유로 5세 이후부터 아이들의 대부분은 진짜 거짓말을 잘 하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 6세 학령기 아이들의 18.2%는 꾸며낸 일과 사실이 다르다는 것을 안다. 

  • 9세 학령기 아이들의 대부분은 꾸며낸 이야기와 사실 이야기를 분별하는 능력이 있다. 

  • 이렇게 학령기 아이들이 사실과 허위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기 시작할 때 거짓말의 뜻도 잘 알기 시작한다. 

  • 7세 학령기 아이들의 대부분은 거짓말을 한 후 거짓말을 한 것에 자책감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그들은 거짓말을 했기 때문에 벌을 받을까 걱정 하고 거짓말을 했기 때문에 죄를 졌다고 생각도 하고, 또 하나님이 벌을 줄까 걱정 하고 때로는 하나님에게 용서해 달라고 기도하기도 한다. 

  • 10~11세 초기 사춘기 아이들의 대부분은 정직하게 사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거짓말을 하는 것은 나쁜 것이라고 인식하기 시작한다. 

  • 3세 이전 유아들의 대부분은 크고 작고, 많고 적고, 차고 뜨거운 것 등 반대어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할 수 없다. 

  • 또 정직이나 거짓의 뜻을 정확히 분별하지 못하는 것이 보통이다. 

  • 3세 이전 유아들은 자기들이 말하는데 쓰고 있는 단어들의 뜻을 확실히 알지 못하고 말하는 때가 더 많다.
    그 때문에 자신들이 거짓말을 하고 있는지 참말을 하고 있는지 모르고 말을 막 할 때가 많다.

  • 때로는 그들은 자신도 모르게 말을 환상적으로 꾸며내기도 하고, 사실을 과장해서 거짓말을 꾸미기도 한다.

  • 6~7세 학령기 아이들의 대부분은 진실, 사실, 정직, 허위 등의 단어의 뜻을 어느 정도 이해하기 시작한다.

  • 5세 이전 유아들이든 그 이후 학령기 아이들이든 “거짓말을 하면 나쁘고” “거짓말을 해서는 안 된다”고 주의를 주고, 거짓말을 하지 않도록 훈육시키지 않으면 유아기, 학령기 때 하기 시작한 거짓말이 습성화 되어 그 이후에도 거짓말을 계속할 수 있고 그 습성이 사춘기, 성인기까지 이어질 수 있다.

  • 부모들의 자녀 양육과 훈련의 책임이 얼마나 중요한지 여기서도 다시 한 번 상기해야 한다. 그 나라의 소아들이나 성인들이 거짓 말을 콩주어 먹듯이 하는 이유를 즘작 할 수 있다.

거짓말의 분류

① 환상적으로 하는 거짓말, 

② 모방하기 위한 거짓말, 

③ 과장하기 위한 거짓말, 

④ 선의 거짓말, 

⑤ 방어하기 위한 거짓말, 

⑥ 주의 집중을 끌기 위한 거짓말, 

⑦ 앙갚음을 하기 위한 거짓말, 

⑧ 반항하기 위한 거짓말, 

⑨ 병적으로 하는 거짓말 

등으로 거짓말을 분류할 수 있다. 

환상적으로 하는 거짓말(환상적 거짓말)

  • 있는 그대로 사실을 말하지 않고 환상적으로 꾸며 말하는 것을 환상적 거짓말이라 한다. 

  • 일상 삶에서 재미가 없거나 자기의 생각이 다른 사람들의 생각과 다를 때, 어떤 상황을 자기에게 유리하게 이끌어 낼 때, 부모로부터 사랑을 더 받고 싶을 때, 실제로 없는 것을 환상해 그럴 듯하게 꾸며 환상적 거짓말을 하는 것이다. 

  • 환상적으로 말을 꾸며서 거짓말을 하는 것을 아무렇지 않게 생각하기도 하고 그런 환상적 거짓말을 하는 것이 잘못이라고 생각하지도 않고, 환상적으로 말을 꾸며 거짓말을 해도 그것에 관심을 갖지도 않고, 그렇게 거짓말을 해서는 안 된다고 교육시키지도 않는 부모들이 있다. 이것은 잘못된 부모교육이다. 

  • 사실의 뜻과 환상의 뜻을 확실히 분별할 수 없고 이 두 단어의 뜻을 혼동할 때 아이들은 환상적 거짓말을 하게 된다. 

  • 유아들이나 초기 학령기 아이들의 마음속에 어떤 논리도 이유도 없이 무의식적으로 환상적 거짓말을 하는 것이 보통이다. 

  • 예를 들면, 유아들이나 초기 학령기 아이들은 귀신, 산신령, 호랑이 등에 관한 환상적 이야기를 평소에 자주 듣는다. 

  • 또 유아들이나 초기 학령기 아이들이 학교나 집에서 놀 때 왕자, 개, 사자 또는 노루 등이 역할을 하면서 놀기도 한다. 

  • 때로는 나무토막을 먹는 척 하며 장난도 한다. 

  • 이와 같이 사실과 아주 다른 이야기와 행동을 고의적으로 만들어 내면서 놀기도 한다. 

  • 또 재미있게 환상적인 이야기를 만드는 어린 유아들이나 초기 학령기 자녀들을 보는 부모들은 칭찬을 아끼지 않고 많이 하기도 한다. 

  • 이렇게 유아들이나 초기 학령기 자녀를 양육을 하는 동안 어린 유아들이나 초기 학령기 자녀들은 환상적 거짓말을 알게 모르게 많이 듣고 배우고 또 스스로 만들어 내기도 한다. 

  • 환상적인 거짓말을 하는 것은 정상 성장발육의 일부분이다. 

  • 그러나 말을 환상적으로 꾸며 거짓말을 많이 해서 그 정도가 심하면 비정상적으로 본다. 

  • 환상적 거짓말을 비정상적으로 많이 하면 사실과 환상이 다르다는 것을 가르치고 참말을 하도록 가르친다. 

  • 환상적으로 말을 꾸며서 거짓말을 하는지 단순히 겉으로 꾸며서 거짓말을 하는 것인지 알아본다. 흥미가 없거나 불쾌한 상황에서 도피하려고 환상적인 거짓말을 때로는 할 수 있다. 

  • 사실과 꾸민 말의 차이점을 아는 데는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런 행동이 잘못됐다고 따질 수 없다. 

  • 초등학교 1년생들의 대부분은 사실과 꾸민 환상적인 이야기를 분별할 수 없다. 

  • 예를 들면, 아빠가 “네가 달콤해서 너를 먹겠다고” 하면서 먹는 시늉을 하면 진짜로 자기를 먹는 줄로 아는 영유아도 있다. 

  • 이렇게 사실과 환상적 거짓의 차이를 잘 모르는 영유아들에게 환상과 사실을 비교해서 가르친다. 

  • 환상적 만화, 동물 또는 쇼 등 TV의 프로그램을 볼 때 그때그때의 장면이 사실인지 환상적인 이야기인지 구별하는 법을 가르친다. 

  • 그 장면이 사실이 아니면 사실이 아닌 이유를 물어보든지 영웅은 사실로 존재하는 것인지 만들어 낸 것인지, 사람이 공중에서 날 수 있는지, 개가 차에 치이면 어떻게 될 것인지 등의 사실과 환상적인 사건들의 예를 들어서 사실과 꾸민 환상적인 이야기의 차이점을 가르친다. 

  • 실제로 있던 이야기와 환상적인 이야기가 있는 책을 읽어주고 사실로 있던 이야기인지 꾸며낸 환상적인 이야기인지를 구별하는 방법을 설명해 준다. 

  • 도서관에서 나이에 적절한 책을 구입해 사실 이야기와 환상적인 이야기를 구별하도록 한다. 

모방하기 위한 거짓말(모방 거짓말)

  • 사실 그대로 다른 사람들에게 말하지 않고 그 사실을 재미있고 우습게 꾸며 사실과 아주 다르게 모방해서 말을 할 수 있다. 

  • 이런 경우, 모방하기 위한 거짓말이라고 한다. 

  • 영유아나 초기 학령기 아이들은 옳게 사리를 판단하는 능력과 분별하는 능력이 잘 발달되지 않고 미숙해 진짜로 한 진짜 거짓말과 농담으로 한 농담 거짓말을 확실히 분별할 수 없다. 

  • 특히 자기를 진정으로 사랑하고 자기가 존경하는 부모의 행동과 말 하나 하나를 있는 그대로 보고 배우고 모방하면서 자란다. 

  • 부모들이 영유아들이나 초기 학령기 자녀들 앞에서 사실대로 말하지 않고 꾸며 거짓말을 하거나 사실을 재미나게 과장해서 꾸며 거짓말을 하면 그런 것도 잘 모방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모방하기 위한 거짓말을 하게 된다. 

  • 부모 스스로가 영유아들이나 초기 학령기 자녀들 앞에서 이런 식으로 자주 실수하고 있으면서 그런 실수를 저지르고 있는 줄도 모르고 산다. 

  • 이런 가정에서 자란 소아청소년들은 진실과 거짓을 확실히 분별하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과장하기 위한 거짓말(과장 거짓말)

  • 어떤 소아청소년들은 과장도 하고 허풍도 잘 떤다. 

  • 때로는 이런 식의 거짓말은 심각한 문제가 되지 않지만 그들이 과장하기 위한 거짓말을 하는 것을 장려해서는 절대로 안 된다. 

  • 부모들이 사실과 다르게 과장하거나 허풍을 떨면 그런 부모들의 소아청소년 자녀들도 부모를 닮아 과장해서 말을 꾸며 거짓말을 하게 된다. 

  • 성인들은 소아청소년 자녀들이 거짓말을 조금만 하면 참지 못하고 화부터 내는 것이 보통이지만 우리 성인들은 알게 모르게 사실을 과장하는 거짓말을 소아청소년 자녀들 앞에서도 솔솔 잘 한다. 

선의로 하는 거짓말(선의 거짓말)

  • 초청을 받았을 때 초청 받은 곳에 가고 싶지 않으면 다른 초청을 이미 받았기 때문에 거기에 갈 수 없다고 거짓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 어떤 사람들은 이런 선의 거짓말을 솔솔 잘 한다. 

  • 선의 거짓말도 거짓말이다. 

  • 그렇지만 학령기나 사춘기 자녀들 앞에서 그런 선의 거짓말을 자주 하면 진실하게 말하는 것과 선의 거짓말을 구별할 수 없다. 

  • 선의 거짓말을 많이 하면서 사는 사람들은 때로는 다른 종류의 빨간 거짓말도 많이 한다. 

  • 오늘날 복잡하고 격동적인 사회에서 살면서 각종의 압력, 억압, 강요 등을 쉴 새 없이 받고 그런 것들을 하나하나 물리치고 꿋꿋하게 사는 부모들의 삶을 소아청소년 자녀들은 잘 이해하지 못한다. 

  • 그래서 소아청소년 자녀들은 부모들이 그런 선의 거짓말을 하는 이유를 확실히 모른다. 

  • 선의 거짓말을 잘 하는 부모들의 슬하에서 자란 아이들은 자기들이 어떤 일을 하기 싫거나 그 상황에서 피하고 싶을 때, 자기가 하고 싶지 않은 것을 다른 사람이 하게 할 때나 자기가 저지른 잘못을 다른 사람의 탓으로 돌릴 때, 사회적 압력에서 피할 때 선의 거짓말을 밥 먹듯이 잘 할 수 있다. 

  • 누구든지 선의 거짓말을 자주 습관적으로 하면 악의적 거짓말을 잘 하는 사람이 될 수 있다. 

방어하기 위한 거짓말(방어거짓말)

  • 어린이들의 대부분은 자기가 잘못 행동하고 그가 잘못한 행동에 적절한 벌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할 때 그 벌을 받지 않기 위해 잘못한 것이 자기의 탓이 아니라고 방어하기 위해 거짓말을 한다. 이런 거짓말을 방어하기 위한 거짓말이라고 한다. 

  • 잘못한 것에 대한 책임을 져야할 때 그 책임이 자기에게 있지 않다고 방어하기 위해 거짓말을 할 수 있다. 

  • 소아청소년 자녀들에게 집안이나 집밖에서 해서는 안 되는 일과 해도 되는 일, 또 지켜야 할 규칙이 많이 있다. 

  • 그렇지만, 그들의 대부분은 지켜야 할 규칙, 그들이 해서는 안 되는 것에 대해서 다 알 수 없다. 또 부모가 그들에게 만든 규칙이나 제한의 뜻도 이해하지 못하고, 때로는 그런 규칙이나 제한에 관해서 아주 까마득하게 잊어버리기도 하고, 그런 규칙이 있는지도 알면서도 지키지 않고 어길 수 있다. 

  • 그런데도, 많은 부모들은 소아청소년 자녀들이 100% 완전무결하게 부모가 정한 규칙이나 제한에 따라 행동하기를 바란다. 

  • 그리고 자녀들이 부모가 세운 규칙이나 제한을 어기고 지키지 않고 있다는 사실도 스스로 안다. 

  • 많은 부모들은 자녀들이 사소한 잘못이라도 저지를까 걱정하고 자녀들이 스스로 옳게 행동하기를 바란다. 

  • 자녀들이 부모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할 때도 있다. 

  • 때로는 소아청소년들이 순종을 하지 않아 부모들의 기대에 미치지 않는지, 자녀들이 미숙하고 능력이 없어 부모들의 기대에 어긋나게 행동하는지 확실히 분별해야 한다. 

  • 부모들은 이 두 가지 조건을 확실히 분별해야 자녀들이 거짓말을 하지 않게 된다. 

  • 어린 자녀가 부적절하게 행동했으면 부적절한 행동을 하게 된 동기를 그에게 직접 물어보아야 한다. 

  • 잘못한 행동을 인정하면 잘못한 행동에 대한 벌을 줄 수 있고 잘못 행동을 했는지 확실히 모르면 그 자녀들에게 벌을 줄 수 없다. 

  • 벌을 받지 않기 위해 이와 비슷한 상황에 처한 어떤 자녀들은 거짓말을 할 수 있다. 

  • 어떤 자녀들은 잘못 행동을 하고 벌을 받지 않기 위해 거짓말을 하는 것이 무엇이 잘못이냐는 식으로 생각한다. 

  • 그래서 잘못 하고 또 거짓말을 자꾸 한다. 

  • 지키기 어려운 약속을 하라고 강요를 받은 자녀들의 일부는 그렇게 하겠다고 약속할 수 있다. 

  • 또 약속의 뜻을 모르는 자녀들이 약속을 한 후 그 약속을 지키지 않으면 거짓말을 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 사실은 약속을 지키지 않으려고 하지 않았는데 약속을 지키지 않아 거짓말을 한 셈이 된다. 

  • 그들의 행동 제한은 나이에 적절해야 하고 너무 많은 규칙을 만들어 놓지 말아야 한다. 

  • 규칙이나 제한을 확실히 무시하거나 어길 때 자녀들에게 어긴 이유를 물으면 거짓말을 하기 쉽다. 

  • 때문에 될 수 있는 한 이유를 묻지 말아야 한다. 

  • 규칙을 어긴 이유를 조사할 때 말이 막혀 ‘에에’ 하면 더 이상 조사하지 않는 것이 좋고 모호한 질문을 해서는 안 된다. 

  • 그런 상황에서 도피할 의도로 거짓말을 할 수 있다. 

  • 이런 때는 그 거짓말을 하는 그 자체에 해당하는 벌을 주고 그가 저지른 행동에 해당되는 벌도 주어야 한다. 

  • 거짓말을 하고 잘못했다고 곧 수긍하고, 잘못하지 않았다고 부정하고 또 아무 대답을 하지 않고 묵묵히 있는 자녀들도 있고 거짓말을 해서 부정적인 결과가 나올까 생각한 나머지 처음 한 거짓말에다 또다시 거짓말을 할 수 있다. 

  • 이러저런 이유로 거짓말을 확실히 했다고 믿으면 거짓말을 한 이유를 꼬치꼬치 묻지도 말고 따지고 말할 기회를 주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 그 자녀를 비난하지 말고 잘못한 거짓말을 지적하고 필요에 따라 거짓말을 한 것에 대해 벌을 주어야 방어적 거짓말을 또 하지 않게 된다. 

  • 잘못한 행동에 대한 벌을 받지 않고 빠져 나올 수 있는 수단으로 거짓말을 할 수 있다. 

  • 다루기가 어려운 상황에 처할 때 그 상황에서 빠져나가기 위해 거짓말을 할 수 있다. 

  • 사는 동안 겁을 준다든지, 남을 속인다든지 또는 고자질을 해서는 안 된다고 교육시킨다. 

  • 정직하게 사는 사람들은 남들로부터 존경을 받고 잘못 행동을 하거나 거짓말을 하는 것은 잘못이고 죄를 범하는 것이라고 교육시킨다. 

  • 죄의식을 갖고 사는 것보다 정직하게 사는 것이 훨씬 낫다고 훈육한다. 

  • 부모들은 자녀들 앞에서 거래관계를 할 때 완전한 정직성을 보여야 한다. 

  • 또한 부부간에 어떤 일을 따질 때도 정직하게 따져야 하고 그렇게 하는 것을 자녀들에게 보여야 한다. 

  • 부모와 자식 간의 상호관계 또는 부부 상호관계는 신용과 정직성에 바탕을 두고 이루어져야 한다고 가르친다. 

  • 부모와 다른 사람들이 너를 믿을 수 있게 정직하게 사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고 가르친다. 

앙갚음을 하기 위한 거짓말(앙갚음 거짓말)

  • 앙갚음을 하기 위해 무엇을 훔치거나 불복종하거나 거짓말을 할 수 있다. 

  • 부모가 화나도록 거짓말을 하는 자녀들도 있다. 

  • 예를 들면, 부모가 “너 어디 갔다 왔니?”라고 물었을 때 부모의 허락 없이는 수영장에 갈 수 없는 규칙이 있는 것을 확실히 알고 있으면서 부모의 허락 없이 수영장에 혼자 갔다 오면 부모가 화를 낼 것을 뻔히 알면서 “수영장에 갔다 왔다.”고 거짓말을 할 수 있다. 

  • 이런 식 거짓말을 앙갚음을 하기 위한 거짓말을 할 수 있다. 

  • 그런 앙갚음을 하기 위한 거짓말을 해서 부모의 마음을 뒤흔들어 놓고 부모가 화나게 한다. 

  • 앙갚음을 하기 위해 거짓말을 하는 자녀들을 실지로 자주 볼 수 있다. 

  • 특히 수동적 공격적 행동으로 분노를 표출하는 자녀들에게 더 자주 볼 수 있다. 

  • 부모가 자기를 공평하게 대해 주기를 바라고 자기를 공평하게 대하지 않는 부모들에게 앙갚음을 하기 위해 거짓말을 하기도 하고, 형제들 간에 시기심이 생길 때 앙갚음 거짓말을 할 수 있고, 부모가 다른 형제들에게 더 관심을 갖고 보살피거나 더 사랑하면 부모에게 앙갚음을 하기 위한 거짓말을 할 수 있다. 

칭찬이나 상을 받기 위한 거짓말(칭찬이나 상 거짓말)

  • 부모들로부터 칭찬이나 상을 받기 위해 거짓말을 할 수 있다. 

  • 자녀들이 무엇을 하던지 최선을 다하기를 바라고, 성공적으로 끝내기를 바라는 부모의 슬하에서 자라는 어린 자녀들은 자신도 모르게 부모들로부터 상당한 압력을 받는 것이 보통이다. 

  • 어린 자녀들은 부모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렇지만 최선으로 행동해서 부모들을 즐겁게 하고 맡은 바를 성공적으로 성취하기 위해 노력한다. 

  • 그들 자신이 성취할 수 있는지 평가하기도 한다. 

  • 그리고 자신들이 살아가는 방향을 설정하고 그 방향으로 가기를 원한다. 

  • 이러한 성장 발육과정에서 자신도 모르게 자기가 한 그릇된 행동을 합리화하기 위해 부모에게 거짓말을 할 수 있다. 

  • 미숙해서 다루기 힘든 일들을 하라고 강요받은 어린 자녀들은 거짓말을 할 수 있다. 

  • 또 부모들 앞에서 잘한 행동을 보여주기 위해 거짓말을 할 수 있다. 

반항하기 위한 거짓말(반항 거짓말)

  • 면전에서 나쁘다고 공격받거나 어떤 일에 대한 반항하는 수단으로 거짓말을 할 수 있다. 

  • 부모에게 무엇을 해달라고 계속 졸라댈 때 “난 지금 바빠서 네 부탁을 들어줄 수 없다.”고 부모가 대답할 때 그 자녀가 거짓말을 하고 있는 사실을 알게 된다. 

  • 그 자녀는 부모가 거짓말을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그 자녀도 거짓말을 할 수 있다. 

  • 부모나 가족들 중 누가 자기에게 무엇을 해달라고 계속 졸라대면 반항적으로 답변하거나 해달라는 것을 못해 주겠다고 거절하거나 부정적으로 변명하거나 허위로 증거를 대거나 거짓말을 해서 부모나 그들을 화나게 할 수 있다. 

주의 집중을 받기 위한 거짓말(주의 집중 거짓말)

  • 조건 없는 사랑과 보살핌을 부모로부터 더 많이 받고 싶은 자녀들은 거짓말을 할 수 있다. 

  • 가령 수학 숙제를 하지 않은 것을 뻔히 알고 있는 데 부모에게 숙제를 다 했다고 거짓말을 할 수 있다. 

  • 그런 거짓말을 할 때 자기가 거짓말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부모가 뻔히 알고 자기가 한 거짓말에 대한 벌을 받을 것이라는 것도 미리 안다. 

  • 부모들에게 주의를 주어 부모의 관심과 사랑을 받는 것이 훨씬 낫다고 생각하고 거짓말을 할 수 있다. 

병적으로 하는 거짓말(병적 거짓말)

  • 자기에게 확실한 이익도 없고 이유도 없는 데 하는 거짓말을 병적 거짓말이라고 한다. 

  • 이런 병적 거짓말을 하는 초기 사춘기 아이들을 가끔 본다. 

  • 병적 거짓말은 성인이 된 후에도 계속 할 수 있다. 

  • 훔치기나 가출 등의 행위를 동시에 하는 것이 보통이다. 

거짓말을 하지 않게 예방하고 거짓말에 대한 대처방안

  • 부모들 스스로 남들에게 조금도 해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되는 선의 거짓말도 하지 말아야 한다. 

  • 대부분의 어린 자녀들은 선의 거짓말과 악의적 거짓말을 확실히 분별할 수 없다. 

  • 때문에 자녀들이 부모들로부터 선의 거짓말을 하는 것도 배우지 않도록 해야 한다. 

  • 자녀들을 양육하는 중 소아청소년 자녀들 앞에서 거래관계를 신용과 정직성에 근거를 두고 해야 한다. 

  • 거짓말을 하는 것은 나쁘고 잘못된 행동이며 부모로서 그냥 참고 넘어갈 수 없는 나쁜 행동이라고 교육시켜야 한다. 

  • 거짓말을 할 기회를 자녀들에게 주지 말고 거짓말을 하는 것은 안 된다고 가르친다. 

  • 될 수 있는 한 거짓말을 하게 된 동기와 이유에 대해 묻지 않는다. 

  • 그 이유를 물으면 이미 한 거짓말에다 더 거짓말을 할 기회를 줄 수 있으므로 거짓말을 하게 된 동기와 이유에 대해 묻지 않는 것이 좋다.

  • 물론 예외도 있다. 

자녀가 거짓말을 한 이유를 알면 그 이유도 고쳐야 한다.

  • 많은 사람들이 때로는 사실을 과장해서 거짓말을 만들고 선의 거짓말을 하기도 한다. 

  • 그러면서도 자기 소아청소년 자녀들이 거짓말을 조금이라도 하면 성인들은 대단히 언짢아한다. 

  • 4세 이전 유아들의 대부분은 부모들이 좋아하고 좋아하지 않는 것에 기반을 두고 그들은 행동하고 엄마 아빠가 그들의 행동을 좋아하는 것 같으면 잘한 행동으로 알고, 그들이 한 행동을 좋아하지 않으면 자기들이 한 행동이 나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보통이라고 이미 언급했다. 

  • 소중한 꽃병을 깨트린 것을 엄마가 알면 엄마가 언짢아 할 것이라는 것을 아는 유아 자녀는 엄마를 언짢게 해주고 싶지 않은 생각에서 꽃병을 깨뜨리고도 깨뜨리지 않았다고 거짓말을 해서 자기가 한 일을 해결하려고 하기도 한다. 

  • 얼굴과 손에 초콜릿이 잔뜩 묻어 있는 유아 자녀가 병속에서 초콜릿을 꺼내 먹지 않았다고 크게 소리쳐 거짓말을 할 수 있다. 

  • 어린 유아자녀를 동물원에 데리고 가서 부모가 자녀를 공짜로 입장시키기 위해 나이를 속일 때 그 유아는 부모가 거짓말을 하는 사실을 정확히 안다. 

  • 때로는 그 유아 자녀가 아빠에게 “난 3살이 아니고 4살이라고” 큰 소리로 말해 아빠를 당황케 할 수 있다. 

  • 과속을 하고 정지 표시를 무시하고 교통위반을 한 아빠가 어린 자녀들 앞에서 교통순경에게 위반하지 않았다고 거짓증언하면 그 자녀가 거짓말을 하는 아빠를 보고 거짓말을 배울 수 있다. 

  • 거짓말을 하는 아버지를 보고 왜 그런 거짓말을 할까 생각도 할 수 있겠고, 때로는 그 자녀는 커서 이 세상에서 가장 큰 거짓말쟁이가 될 수 있다. 그래서 감방 속에 세상을 보내지 않게 해야 한다. 

  • 이 얼마나 가엾은 일인가. 

  • 때로는 큰 거짓말로 감방 속에 앉아 있는 꼴이 되기도 한다.

  • 체면을 차리기 위해 또는 다른 사람의 감정을 손상시키지 않기 위해 선의 거짓말을 많이 하지만 어린 자녀들은 나쁜 진짜 거짓말과 선의의 거짓말을 확실히 구별할 수 없으므로 선의 거짓말도 어린 자녀들 앞에서도 모르게도 하지 말아야 한다. 

정직, 사실, 가짜 등의 의미를 가르친다.

  • 2~4세 된 유아기 때부터 성숙도에 따라 유아 자녀들에게 사실과 사실이 아닌 것(허위)의 차이를 가르친다. 

  • 어린 유아들의 머릿속에 든 지식은 많지 않다. 

  • 부모 형제, 자매들의 삶과 사회에서 일어나는 사사건건을 보고 듣고 머릿속에 기록하고 저장하고 그들은 자란다. 

  • 아빠는 괴물이라고 가정하면서 어린 유아 자녀와 장난할 때 그 유아 자녀는 아빠가 진짜로 괴물인 줄 알고 놀랄 수 있다. 

  • 그리고 아빠가 진짜로 괴물인지 의심할 수 있다. 

  • 이런 식으로 사실과 가짜의 차이를 가르칠 수 있고 아빠는 진짜로 괴물인가, 이 세상에 괴물은 진짜로 존재하는지 등을 이런 장난 등을 통해 사실과 꾸민 이야기의 차이에 대해서도 가르친다. 

  • 자녀들의 머리 속에 비디오 레코드와 비슷한 레코드가 있다. 

  • 그들은 보고 듣는 것 모든 것을 머릿속에 기록한다. 그 후 그 레코드를 틀면 보고 들었던 것이 다시 나오고 그들은 보고들은 대로 행동한다. 

  • 자녀들에게 나타난 행동의 거의는 부모들의 모델과 이 사회에서 나온 것이라고 해도 그렇게 틀리지 않는다. 

  • 자기를 사랑하고 자기가 존경하는 부모들로부터 보고들은 것은 모두 다 기억해 놓는다. 

  • 또 사회에서 우열을 다투면서 사는 지도자들의 언행 하나하나를 소아청소년들은 보고 듣고 배우고 머릿속에 기억한다. 

  • 성인들은 정직하게 살아서 소아청소년들에게 모범을 보이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 그러나 이런 말들은 꿈에서나 하고 들을 수 있는 것같이 생각할 수 있다. 

  • 정직하게 사는 사람들은 언제든지 승리자가 될 수 있다고 가르친다. 

거짓말을 하도록 부추기지 말아야 한다.

  • 부모들은 자녀들이 행동을 잘못 하거나 거짓말을 하면 그 동기와 과정을 알기 위해 조사를 할 수 있다. 

  • 어떻게 잘못한 행동과 거짓말을 한 이유를 캐묻는 과정에서 그들이 거짓말에 또 거짓말을 하게 부추길 수 있다. 

  • 깨진 과자 병을 들고 서 있는 아이의 얼굴에 과자 부스러기가 묻어 있는 것을 보고 엄마가 “너 거기 올라가서 과자를 내려 먹지 말라고 했는데, 내 허락 없이 과자를 먹고 과자 병을 깨뜨렸지?” 하고 물으면 그 아이는 천진난만한 얼굴로 어머니를 바라보면서 ‘아니’하고 대답할 수 있다. 

  • 그 아이는 과자를 먹고 과자 병을 깨뜨렸지만 엄마의 질문에 거짓말을 또 할 수 있다. 

  • 더블 트러블을 만들고 있는 것이다. 

  • 이런 식으로 잘못한 행동을 하게 된 동기도 알아보는 과정에서 이미 확연히 잘못한 행동에 대해 더 자세히 물으면서 잘못된 행동과 거짓말을 다루면 정직한 아이도 거짓말을 더 할 수 있다. 

  • “친구 아무개는 말을 갖고 있고 그 말을 탔다”는 거짓말을 하는 것은 어쩌다가 들은 엄마는 “그 아이의 친구는 말을 타지 않고 당나귀를 타고 말은 소유하지 않았다”고 고쳐 말해 주었다. 

  • 이 예와 같이 아이들은 무엇을 자랑하는 습성이 있고 과장해서 거짓을 말하는 경향이 있다. 이런 기회에 올바르게 말하고 과장해서 말하지 말고 정직하게 말하라고 가르친다. 

  • 잘못한 행동에 대해 솔직히 말하면 벌을 받을까 걱정돼서 차라리 거짓말을 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거짓말을 하면 더 이상 손해 볼 것도 없지 않느냐”는 말이 있듯이 나쁜 행동을 하고 부모한테 거짓말로 하지 않았다고 하면 벌도 받지 않고 나쁜 행위를 하고서도 그냥 지나가 버리는 경우도 있다. 이런 이유로 거짓말을 자꾸 하게 되므로 주의한다. 

  • 질문할 것이 확실하거나 잘못한 행동과 이유를 자세히 묻지 말고 그 아이에게 너는 잘못했다. “나는 네가 잘못한 행동에 대해서 정말 화났어.”, “네가 거기에 올라가서 과자 병을 깨뜨린 것에 대해서 벌을 주겠다.”고 엄하게 말한다. 

  • 잘못한 행동을 안 했다고 거짓말로 부인할 때는 그 말을 무시하고 처음 잘못한 행동에 초점을 맞춰 벌을 주어야 한다. 

  • 확실히 어떻게 잘못 했나 상황을 잘 모르나 부모의 생각으로 그 아이가 확실히 잘못했다고 믿으면 잘못하게 된 동기와 과정 등을 묻지 말고 내 생각으로 네가 이렇게 했다고 단정적으로 말한다. 

  • 그 아이가 “꽃병을 깨뜨리지 않았다”고 거짓말을 할 때 네가 안 하고 다른 아이가 했다고 믿느냐고 강조한다. 거짓말과 잘못한 행동은 두 가지의 잘못을 함께 취급해서 각각의 잘못에 해당되는 벌을 준다. 

  • “아이가 잘못 행동했을 때 네가 진실로 말하면 화를 내지 않는다.”고 설명을 한다. 

  • “네가 거짓말을 또 하면 두 번 거짓말을 해서 잘못된 것이다”라고 설명한다. 

  • 부모가 어린 자녀에게 말한 것에 대해서는 꼭 실행에 옮겨야한다. 

  • 거짓말에 대해서 심한 벌을 주어선 안 된다. 

  • 만일 어린 자녀에게 너무 자주 심하게 벌을 주면 그 자녀가 어떻게 하다가 잘못했을 때 벌을 피하기 위해 거짓말을 또 꾸며댈 수 있다. 

 잘못한 행동에 해당된 벌을 주고 거짓말을 한 것에 해당한 것도 벌주어야 한다.

  • 잘못한 행동에 대해 벌주는 것은 물론이고 잘못한 행동에 대해 거짓말을 하고 또 그 거짓말에다 거짓말을 더하면 두 번째 거짓말에 대해서도 벌주어야 한다. 즉 삼중 벌을 받아야 한다. 

  • 허락 없이 과자 병에서 과자를 꺼내 먹은 것에 대한 벌을 준다. 

  • 다음 날은 과자를 주지 말고, 엄마에게 “과자를 안 먹었다”고 거짓말을 한 것에 대해 그 다음 다음 날에 과자를 주지 않는 식으로 해서 연 이틀 동안 과자를 먹을 수 없게 벌을 준다. 

  • 이 경우 나이와 거짓말과 잘못한 행동의 정도에 따라 1주정도 벌주는 것은 심한 편이다. 

  • 방과 후 친구 집에 가는 대신 다른 집에 가면 방과 후 2일 정도 집안에 있게 벌주는 것이 적당하다. 

  • 거짓말을 한 것에 대한 벌의 양은 허락 없이 다른 집으로 간 행동에 대해 받는 벌의 양과 거의 같은 정도 정해주는 것이 좋다. 

  • 이런 식으로 행동을 잘못하고 거짓말을 하는 어린 자녀들을 훈련시키면 그 자녀가 나쁜 행동과 거짓말을 했을 때 솔직히 말할 것이다. 

  • 거짓말에 또 거짓말을 하면 벌을 2배로 받을 것이고 거짓말을 솔직하게 말하면 벌을 반만 받는다는 것을 알고 진실하게 말하게 되고 거짓말을 않게 된다. 

  • 나아가서는 커서 정직하고 떳떳하게 사는 성인이 될 것이다. 

  • 감옥 감방 속에 여러 해 동안 앉아 있지 않을 것이다.

  • 그 거짓말 자체에 대해 벌을 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거짓말을 했다고 솔직하게 정직하게 사실대로 말하라고 가르쳐 주는 것도 중요하다. 

  • 삶에서 진실하고 정직하게 행동하고 말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면서 훈련시킨다. 

  • 어린 자녀가 정직하게 행동하면 즉시 칭찬 한다. 

  • 이런 방법으로 거짓말을 하지 않게 가르치고 정직하게 살도록 훈련시키는 것은 간단한 것 같지만 자녀 양육 중에서 가장 어려운 면이다. 

  • 자녀가 과자를 먹다가 병을 깨뜨리고 그것에 대해 미안하다고 사과하면 네가 한 잘못에 대해 너는 정직하게 사과할 줄을 아니 좋은 자식이라고 칭찬한다. 

  • 그리고 깬 과자 병에 대해서만 벌을 주어야 한다. 

  • 자녀가 매일 한 정직한 언행을 기록하는 공책을 만들고 정직한 언행을 그날그날 적어 놓는다. 

  • 그 공책을 그날그날 검토하고 잘한 언행에 대해 칭찬한다. 

  • 그 자녀가 듣는 앞에서 정직하게 행동한 것에 대해 남들에게도 말하고 칭찬할 수 있다.

  •  좀 더 큰 학령기 자녀들은 정직하고 좋은 일을 한 것을 자신이 공책에 매일 적어 놓고 부모에게 매 주마다 보이고 검토 받는 것도 좋은 교육이다. 

  • 정직하고 진실하게 언행을 하면 특권을 주거나 상을 주고 때로는 뜻밖의 선물을 줄 수 있다. 

  • 정직한 언행에 특권이나 상을 줄 때는 상식이 통하는 정도로 준다. 

  • 허락 없이 어떤 장소에 갔던 행동이 뒤늦게 밝혀지기도 전에 사실대로 부모에게 말하면 그 말을 해준 것에 대해 칭찬한다. 

  • 다음부터 부모의 허락 없이 어디를 가서는 안 된다고 주의 주고 너를 믿을 수 있으니 다음에는 적절한 다른 장소에 가도 된다는 특권을 줄 수 있다. 

  • 어디에 갔다가 제때에 오면 또 갈 수 있는 특권을 줄 수 있고 이런 식으로 성장 속도에 따라 특권을 하나씩 점점 늘려 줄 수 있다. 

  • 자녀가 잘못 행동한 후 부모가 그 잘못한 행동을 알지도 못하기 전에 자발적으로 잘못한 행동에 대해 사과하면 벌을 보통 때보다 적게 줄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식으로 훈련시키면 때로는 부모들을 조종할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 과거에 거짓말을 한 적이 있으나 그 후 정직하게 행동하고 진실하게 말하면 상을 주고 칭찬하는 것이 마땅하다. 

  • 그리고 계속 정직하게 말하고 옳게 행동을 하도록 훈련시켜야 한다. 

  • 처음으로 학교에 영어 책을 잊어버리고 놓고 왔다면 정직하게 말해 고맙다고 하고 그 대가로 부모가 그 책을 그 아이와 같이 찾는 방법을 강구하고 찾는데 도와주고 처음 잘못 행동한 것에 대해 벌을 주지 않는 것이 좋다. 

  • 정직하게 말하고 행동하면 나이에 따라 칭찬과 특권을 점점 늘려주는 것이 적당하다. 

  • 거짓말, 정직, 솔직, 및 진실 등에 대한 훈련은 성장 속도에 따라 조절한다. 

거짓말을 심각하게 하고 반복하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 10~11세 이상의 사춘기 아이들이 거짓말을 심각하게 하거나 그들에 정서에 이상이 있으면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야 한다. 

  • 어떤 어린 유아들은 사실과 환상을 분별하지 못하고 또 어떤 유아나 학령기 아이들은 사실과 환상을 분별할 수 있지만 자기가 거짓말을 한 후 그 거짓말이 잘못된 행동이라는 것을 뉘우치지 못한다. 

  • 어떤 아이는 자신이 거짓말을 한다는 것을 알면서 악의적으로 거짓말을 한다. 

  • 이런 거짓말은 위험스런 거짓말이고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 

출처 및 참조 문헌

  • 소아가정간호백과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이상원

  • The Johns Hopkins Hospital, The Harriet Lane Handbook, 18th& 19th edition

  • Red book 29th edition 2012

  • Nelson Text Book of Pediatrics 19th Edition

  • Infectious disease of children, Saul Krugman, Samuel L Katz, Ann A. Gerhon, Catherine Wilfert

  • 22권 아들 딸 이렇게 사랑해 키우세요 참조문헌 및 출처

  • Emergency Care Transportation of Sick and Injured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 Emergency Pediatrics A Guide to Ambulatory Care, Roger M. Barkin, Peter Rosen

  • Gray’s Anatomy

  • Ambulatory Pediatrics, Green and Haggerty, Saunders

  • Introduction to Clinical Pediatrics, Smith and Marshall, W.B. Saunders Co

  • School Health: A guide For Health Professionals,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 Goodman and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 Bible, 논어, 명심 보감, 불경

  • How to really love your child, Ross Campbell

  • Good Behavior Stephen W. Garber, Ph.D. and other

  • Kids Who follow, Kids who don’t

  • Loving Each Other Leo F Buscaglia, Ph,D.

  • 진정한 자녀 사랑 나비게이터

  • 10대 아들 딸 이렇게 사랑해 키워라 이상원 역

  • 소아과학 안효섭 대한교과서

  • 의학 용어사전  대한 의사 협회

  • 그 외

Reviewed 7/29/2014, 4/2015 

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

www.koreapediatrics.com

Copyright ⓒ 2014 John Sangwon Lee, MD, FAAP

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내용은 여러분들의 의사로부터 얻은 정보와 진료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is publication should not be used as a substitute for the medical care and advice of your doctor. There may be variations in treatment that your doctor may recommend based on individual facts and circumstances.

“Parental education is the best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