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이나 병원에서 앓는 아이들의 정신 정서 반응-3 Ds 반응 Sick children’s emotional reaction at home and hospital- Fags syndrome and 3 Ds reaction | 0

posted in: Uncategorized | 0

가정이나 병원에서 앓는 아이들의 정신 정서 반응-3 Ds 반응 Sick children’s emotional reaction at home and hospital- Fags syndrome and 3 Ds reaction

| 0

1. 패그스 증후군(Fags syndrome)

가정이나 병원에서 어떤 병을 앓고 치료받는 아이들은 그 병 자체로 인해 육체적 고통도 많이 받지만 정신 정서적 심리적 고통도 알게 모르게 많이 받는다.

병을 앓다가 죽을 수도 있다는 관념에서 오는 두려움(Fear),

“왜 내가 이런 병에 걸려 고생해야 하나” 등으로 생긴 분노(Anger),

“아마도 내가 죄를 저서 이런 병을 앓는 것이라고 생각 등에서 오는”죄의식(Guilt),

이런 저런 고통에서 오는 슬픔(Sadness) 등의 정신 정서적 고통을 남녀노소 빈부를 가리지 않고 거의 누구든지 받는 것이 보통이다.

그 정도에 차이는 있지만 그런 정신적 정서적 심리적 고통은 병을 앓는 아이들에게 공통적으로 생길 수 있다.

아마 이런 정신적 고통은 어떤 성인들에게는 생길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생긴 정신적 고통을 패그스 증후군(Fags syndrome)이라 한다.

그뿐만 아니라 3 Ds 반응, 퇴행성 행동, 불안, 분리 공포증도 생길 수 있다.

특히 어린 자녀들이 병으로 앓고 있을 때 이런 정신적 문제가 거의 다 생길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면서 부모는 어린 자녀의 건강과 안녕을 보살펴 주는 데 전력을 다 해야 한다.

병을 앓는 자녀가 병으로 죽을 가 당황하고 놀래고 불안하고 퇴행성 행동을 하면서 몹시 두려워할 수 있고 (Fear)

그의 행동이 분열될 수 있고 마음이 우울해지고 부정적이면서 분노하고(Anger)

죄진 대가로 그런 병을 앓는다고 죄의식을 가질 수도 있다(Guilt)

어떤 자녀는 흥분하고 울면서 부모에게 매달리거나 조용히 저항하기도 하고 때로는 손가락을 빨거나 장난감 곰 등 전환기 대상 물체를 안고 슬픈 눈길로 부모를 바라보기도 한다(Sadness)

이런 정신적 심리적 반응이 가정에서나 병원에서 병을 치료받는 아이들에게 거의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그 증후군이 확연히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이 증후군의 정도는 나이와 각 아이에 따라 다소 차이가 날 수 있다.
이 Fear, Anger, Guilt, Sadness의 네 개의 영어 단어의 첫 자를 따서 만든 병명이 FAGS 증후군이다.
집에서나 병원에서 병을 앓으면서 치료를 받는 자녀들에게 이런 FAGS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이런 반응이 생기지 않도록 미리 예방하고 그것이 나타나면 적절히 잘 대처해야 한다.
특히 병원에 입원치료를 받는 동안이나 퇴원한 후 앓는 병 그 자체로, 또는 집을 떠나 생소한 병원에서 입원치료를 받으므로 인해 소아들의 정신적, 정서적으로 많은 손상을 입어 퇴행성 행동, 불안, 분리 공포증 등이 생길 수 있다. 그래서 그에 대한 대처를 소아청소년과에서 잘 해야 한다.
hospitalizationfags.jpg
사진 265. 병원에서 어떤 병을 앓고 치료받는 아이들은 그 병 자체로 인해 육체적 고통도 많이 받지만 정신 정서적 심리적 고통도 많이 받는 것이 보통이다.
Copyright ⓒ 2012 John Sangwon Lee, MD., FAAP
2. 3 Ds 반응
생후 9개월에서 4세까지 영유아들이 병으로 병원이나 집에서 입원치료를 받을 때 경악(Dismay) 반응, 절망(Despair) 반응, 부정(Denial)반응이 공통적으로 생길 수 있다.
이 세 가지 반응을 3 Ds 반응이라 한다.
자기 집과 부모를 떠나 낯선 병원에 입원한 영유아는 몹시 흥분되고 크게 소리 내어 울고, 엄마 아빠를 찾고 부르고, 무슨 방법으로도 달랠 수 없는 감정 반응이 생길 수 있다.
이런 감정적 반응을 경악(Dismay) 반응이라고 한다. 이런 경악 반응이 생기는 기간을 경악 반응기라고 한다.
경악 반응은 입원을 한 바로부터 24~72시간 동안에 계속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런 감정적 반응은 병원에 입원한 거의 모든 영유아들에게 생길 수 있다.
간호사나 의사 또는 병원에서 소아 환아를 돌보는 사람들, 심지어는 부모들에게 반항하는 영유아들을 잘 이해하지 못할 수 있다.
때로는 이런 소아 환자를 “나쁜 아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리고 때로는 그런 소아 환아에게 정신 안정제를 주어 잠을 재우고 심기를 저하시키는 치료도 한다.
경악 반응기가 지난 후 입원한 영유아들은 자기 크립이나 침대에 조용히 누워 있거나 앉아 있기도 하고 간호사들이 일하는 사무실 대 앞에 있는 의자에 앉아서 놀기도 한다.
그들의 말에 잘 순응하고 행동하기도 한다. 이 기간 동안 안정제 치료로 마음이 안정되어 있는 소아 환자들도 있다. 그렇지만 아직도 대부분의 영유아 소아 환자들은 슬픔에 가득 차 있고 우울한 상태에 빠져 있는 것이 보통이다.
이런 기간은 며칠 동안 계속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런 감정적 반응을 절망(Despair) 반응이라 한다. 그리고 절망 반응이 계속되는 기간을 절망 반응기라 한다.
경악 반응기와 절망 반응기가 지난 후 부정 반응기에 들어간다.
이 기간에 접어들면 영유아 환아의 대부분은 자기에게 난 병과 입원한 그 자체에 대해서 마음속으로는 몹시 증오하면서도 겉으로는 아무 불평이 없는 것같이 보인다.
이 부정 반응기간 동안 부모, 의사, 간호사에게 전적으로 협조적일 수 있다.
그리고 병을 앓지 않는 영유아들과 거의 같게 행동하는 기간으로 이어진다. 이것을 부정(Denial) 반응이라 하고 이 기간은 부정 반응기라고 한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절망(Despair) 반응, 경악(Dismay) 반응, 부정(Denial) 반응이 공통적으로 생길 수 있다.
이상 3개 영어 단어의 첫 글자를 따서 만든 말이 3 Ds 반응이라고 한다.
이런 3 Ds 반응은 병원이나, 집에서나 외래에서 병을 치료받는 영유들에게도 공통적으로 나타날 수 있고 그 정도에는 다소 차이가 있다.
이런 3 Ds 반응은 영유아들에게 나타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4세 이후 모든 소아 환아들과 성인 환자들에게도 나타날 수 있다.
병을 앓는 소아들에게 3 Ds 반응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그들을 이해해 주어야 한다.
병을 앓을 때 병 치료를 받을 때 3 Ds 반응이 생겨 그로 인해 소아 환자의 행동에 이상이 있을 때” 다 큰 네가 무엇 때문에 그렇게 두려워하느냐” “큰 애가 왜 우느냐” “걱정할 것이 없다” 등 부적절한 말로 달래서는 안 된다. 병을 앓기 때문에 슬퍼하고 두려워하고 화날 때는 그 화를 표출하도록 도와준다.
치료를 받거나 임상검사를 하기 위해 피를 뽑아 아파서 슬퍼하고 우울하면서 절망하는 소아들도 있다.
그리고 그들은 그들의 병에 대해 다음과 같은 6가지 질문을 계속 하고 있다.
나는 지금 무슨 병을 앓고 있나(What)
어떻게 해서 그 병이 나에게 생겼나(How)
나는 왜 그 병에 걸렸나(Why)
그 병은 완전히 회복될 수 있는 병인지 알고 싶고(Well)
언제쯤 회복될 수 있는지 알고 싶고(When)
입원한 후 자기 부모가 왜 자기만 병원에 놓고 집으로 갔는지 알고 싶어 한다(Why).

병을 앓는 아이가 이5 Ws와 1 H 질문을 할 때 부모, 간호사, 의사는 앓는 환아에게 확실 하게 답변 해주어야 그들의 마음이 편안해진다.

저자는 고등학교 2학년 때 3개월 동안 외가댁에서 누어 앓으면서 학교에도 가지 못했던 때도 있었다. 친하게 지냈던 친구 한 명도, 학교 선생님 한 분도 나를 방문한 사람이 없었다. 물론 카드도 편지도 없었다.

가끔 병문안을 온 동네사람들은 있었다. 어떤 사람은 누워 앓고 있는 사춘기 아이 나를 보고 “죽을 것 같다”고 크게 말도 앞에서 했던 것을 지금도 기억하고 이 글을 쓴다.

그 때 나를 치료했던 여러 의사들이 있었다. 그 중 한 의사는 그 후 한국 일류 의과 대학 소아과 교수를 지냈다. 그런 의사들도 또 그들을 도왔던 간호사들도 내가 5 Ws 와 1 H 질문, 3 Ds 반응, FAGS 증후군이 있는 줄을 알고 있었는지 지금도 생각해 본다.

출처 및 참조 문헌

소아가정간호백과–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 이상원

The Johns Hopkins Hospital, The Harriet Lane Handbook, 18th& 19th edition

Red book 29th edition 2012

Nelson Text Book of Pediatrics 19th Edition

Infectious disease of children, Saul Krugman, Samuel L Katz, Ann A. Gerhon, Catherine Wilfert

제22권 아들 딸 이렇게 키우세요 참조문헌 및 출처

Emergency Care Transportation of Sick and Injured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Emergency Pediatrics A Guide to Ambulatory Care, Roger M. Barkin, Peter Rosen

Gray’s Anatomy

Ambulatory Pediatrics, Green and Haggerty, Saunders

Introduction to Clinical Pediatrics, Smith and Marshall, W.B. Saunders Co

School Health: A guide For Health Professionals,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Goodman and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Bible

How to really love your child Ross Campbell

Good Behavior Stephen W. Garber, Ph.D. and other

Kids Who follow, Kids who don’t

Loving Each Other Leo F Buscaglia, Ph,D.

Guide to Your Child’s Sleep.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진정한 자녀 사랑 나비게이터

10대 아들 딸 이렇게 사랑해 키워라 이상원 역

소아과학 대한교과서

의학 용어사전 대한 의사 협회

그 외

Copyright ⓒ 2014 John Sangwon Lee, MD., FAAP

“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내용은 여러분들의 의사로부터 얻은 정보와 진료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is publication should not be used as a substitute for the medical care and advice of your doctor. There may be variations in treatment that your doctor may recommend based on individual facts and circumstances.

“Parental education is the best medicine

Sick Children’s Emotional Reaction at Home and Hospital – Fags Syndrome and the 3 Ds Reaction
| 0
1. Fags Syndrome
Children suffering from illnesses at home or receiving treatment at a hospital not only experience significant physical pain due to the illness itself, but also suffer significant mental, emotional, and psychological distress, often unknowingly.
Fear stemming from the idea that illness could lead to death,
Anger stemming from thoughts like, “Why do I have to suffer with this illness?”,
Guilt stemming from thoughts like, “Perhaps I have sinned and deserved this illness,”
and
Sadness stemming from various pains. These mental and emotional distresses are common and can be felt by almost everyone, regardless of age, gender, or wealth.
While the degree of distress varies, this mental, emotional, and psychological distress can be common among children with illnesses.
Perhaps some adults can also experience this same mental distress. The resulting psychological distress is called Fags syndrome.
Fags syndrome can also cause the “3 Ds” (three-dimensional) reactions, regressive behavior, anxiety, and separation anxiety.
Parents should be especially vigilant in caring for their children’s health and well-being, considering that these psychological problems are almost always present when young children are ill.
A child with an illness may experience panic, anxiety, regressive behavior, and extreme fear, perhaps even death (Fear).
Their behavior may become disorganized, depressed, negative, and angry (Anger).
They may feel guilty about suffering from the illness as a punishment for their sins (Guilt).
Some children may cling to their parents with agitation and tears, or they may silently resist. Others may suck their thumb, hold a transitional object like a teddy bear, and look at their parents with a sad gaze (Sadness).
These mental and psychological reactions are common in children receiving treatment at home or in a hospital.
However, the syndrome may not be evident. The severity of this syndrome can vary somewhat depending on age and each child.
The name FAGS syndrome is derived from the first letters of the four English words: Fear, Anger, Guilt, and Sadness.
It’s important to be aware that children receiving treatment for an illness at home or in a hospital can experience these FAGS reactions. It’s important to prevent them in advance and respond appropriately if they do occur.
In particular, the illness itself, whether during or after hospitalization, or the experience of being hospitalized in an unfamiliar hospital away from home, can cause significant mental and emotional damage, leading to regressive behavior, anxiety, and separation anxiety. Therefore, pediatricians must be diligent in managing these symptoms.
hospitalizationfags.jpg
Photo 265. Children receiving treatment for an illness in a hospital often experience significant physical pain due to the illness itself, but they also typically experience significant mental and emotional distress. Copyright ⓒ 2012 John Sangwon Lee, MD., FAAP
2. The 3 Ds Reaction
When infants and toddlers aged 9 months to 4 years are hospitalized or treated at home for illness, they can commonly experience the dismay, despair, and denial reactions.
These three reactions are collectively known as the 3 Ds.
When an infant or toddler is admitted to an unfamiliar hospital, away from their home and parents, they may experience extreme excitement, cry loudly, call out for their parents, and experience inconsolable emotional reactions.
This emotional reaction is called the dismay reaction. The period during which this dismay reaction occurs is called the dismay phase.
The dismay reaction typically lasts 24 to 72 hours after admission.
This emotional reaction can occur in almost all infants and toddlers admitted to the hospital.
It can be difficult for parents, nurses, and other caregivers to understand infants and toddlers who are defiant. Sometimes these children are referred to as “bad children.” Sometimes, they are treated with tranquilizers to put them to sleep and calm their nerves.
After the startle phase, hospitalized infants and toddlers often lie or sit quietly in their cribs or beds, or play in chairs in front of the nurses’ offices.
They are compliant and behave well. Some infants and toddlers are stabilized during this period with tranquilizers. However, most infants and toddlers remain sad and depressed.
This period typically lasts for several days.
This emotional response is called the despair phase. The period of persistent despair is called the despair phase.
After the startle and despair phases, the denial phase begins.
During this phase, most infants and toddlers harbor a deep resentment toward their illness and hospitalization, yet appear to have no complaints.
During this denial phase, they may be fully cooperative with their parents, doctors, and nurses. This is followed by a period where they behave almost identically to infants and toddlers who are not ill. This is called a denial response, and this period is called the negative response phase.
Despair, dismay, and denial responses can occur, though to varying degrees.
The acronym “3 Ds” is an acronym for these three English words.
These 3 Ds responses can also occur in infants and toddlers receiving treatment for illnesses in hospitals, at home, or as outpatients, though the severity may vary.
These 3 Ds responses can occur not only in infants and toddlers, but also in all children and adults after the age of four.
It’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children with illness can experience these 3 Ds responses and to understand them. When a child experiences the “3Ds” reaction during illness or treatment, resulting in behavioral abnormalities, do not soothe them with inappropriate comments like, “You’re such a big kid, why are you so afraid?”, “Why are you crying, you big kid?”, or “There’s nothing to worry about.” When they feel sad, afraid, or angry because of their illness, help them express that anger.
Some children become sad, depressed, and despairing because they have to have blood drawn for treatment or clinical tests.
They continue to ask themselves the following six questions about their illness:
What illness do I have now?
How did I get this illness?
Why did I get this illness?
They want to know if it’s completely curable?
They want to know when they’ll recover?
After being hospitalized, they want to know why their parents left them in the hospital and sent them home alone?
Why? When a sick child asks the 5 Ws and 1 H questions, parents, nurses, and doctors need to provide clear answers to them to put them at ease.
The author, in his second year of high school, spent three months bedridden at his maternal grandparents’ house, unable to attend school. Not a single close friend or teacher visited him. Of course, no cards or letters were sent.
Some neighbors occasionally visited him. One even exclaimed, “I think I’m going to die,” upon seeing me, a sick adolescent, bedridden, and still writing this, remembering this.
There were several doctors who treated me at the time. One of them later became a professor of pediatrics at a top Korean medical school. I still wonder if those doctors, or the nurses who helped them, knew about my 5 Ws and 1 H questions, my 3 Ds responses, and my FAGS syndrome. Sources and References
Encyclopedia of Pediatric Family Nursing – Parents Should Become Half-Doctors, Lee Sang-won
The Johns Hopkins Hospital, The Harriet Lane Handbook, 18th & 19th editions
Red Book, 29th edition 2012
Nelson Text Book of Pediatrics, 19th Edition
Infectious Disease of Children, Saul Krugman, Samuel L. Katz, Ann A. Gerhon, Catherine Wilfert
Volume 22: Raising Your Sons and Daughters This Way References and Sources
Emergency Care Transportation of Sick and Injured Children,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Emergency Pediatrics: A Guide to Ambulatory Care, Roger M. Barkin, Peter Rosen
Gray’s Anatomy
Ambulatory Pediatrics, Green and Haggerty, Saunders
Introduction to Clinical Pediatrics, Smith and Marshall, W.B. Saunders Co
School Health: A Guide for Health Professionals,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Goodman and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Bible
How to Really Love Your Child, Ross Campbell
Good Behavior, Stephen W. Garber, Ph.D., and Others
Kids Who Follow, Kids Who Don’t
Loving Each Other, Leo F. Buscaglia, Ph.D.
Guide to Your Child’s Sleep,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True Child Love, Navigator
Raising Your Teenage Sons and Daughters, Translated by Lee Sang-won
Korean Textbook of Pediatrics
Dictionary of Medical Terms, Korean Medical Association
Others
Copyright ⓒ 2014 Joh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