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어릴 때 안면도 장등개 논밭, 야산(野 山), 바다가에서 자라던 초목, 꽃, 해초 When I was young, I saw plants, flowers, and seaweed growing in the fields, mountains, and sea of ​​Anmyeondo, Jangdeunggae.

posted in: Uncategorized | 0

내가 어릴 때 안면도 장등개  논밭, 야산(野 山), 바다에서  자라던 초목, 꽃, 해초 When I was young, I saw plants, flowers, and seaweed growing in the fields, mountains, and sea of ​​Anmyeondo, Jangdeunggae.

어릴 나의 아버지 초가 ,봄과 앞, 뒷 야산 들, 천수만 바다가 나물.

내가 홍성 고등학교를 다늘 까지 살았 안면도 장등개 초가집 앞에, 뒤에 양쪽 옆으로 200-300  메터 야산이  있었고 그 가운데에는 밭과 논이 있었고 나의 집에서 2km가면 천수만 바다가가 나왔다. 장등개 마을에는 13개 초가 집이 있었다. 

 나는 9남매들  장남이었다

아랫   동생들이나  엄마나 아버지와 한번도 야산, 논, 밭, 바다가에 나와 같이 가서 나물, 해초 등을 뜯어 오거나 게를 잡아오는 일을 같이  한적이  한번도 없었다.

그렇다고, 부모님이 나 보고 이렇게 하라고 저렇게 하라고 시키지도 안했다.

그 동네에 도서관도 없고 읽을 책도 구 할 수도 없고 운동을 할 수 있는 운동장도 없고 같이 놀수 있는  친구도 하나도 없는 시골에서 살았다.

시간이  있으면 부모님이 무엇을 하라고 지시해서가 아니라 나혼자 스스로 야산으로 논밭으로, 바다가로  여기 저기  먹을 것을 구하러  다녔다

나의 아버지도 엄마도 동네 누구도 나에게 이렇게 하라 저렇게 하라, 또는 이것은 무엇이고 저것이 무엇이라고 가르쳐 주어 배운적이  하나도 없었다. 거런데  나는 어떻게 배우고 컸는지 몰으겠다. 

 그렇다고 해서 동네 다른 아이들이나 아저씨 아줌마도 나와 같이 야산이나 논밭, 바다가에 가서 무엇을  잡고 나물을 뜯어 가지고 온적도  없다. 모두 나 혼자 뜻고 배우고 생각 해서 했다.

동네 아저씨들이 사람들이 나 보고 똘똘이라고 불르기도 했다

엄마 아빠가 이렇게 하라 저렇게 하라고 지시해서  바다에 가서 물 고기를 잡고 독사기 있는 야산에 간것 아니었다.

홍성고등학교를  다닐때  의과 대학에  다닐 때는 공부하느라고 전과 같이 바다니 야산으로 다니면서 지날 없없다.

  지금 이글을 미국에서 75- 80여년  나의 고향 안면도 장등개 고향 집 주변에서 접했던  야산, 바닷가 등지 동식물을  여기에 기술 본다는 것은 그리 쉽지 않다.

장등개(장등포)  마을은 사방  야산을 둘러 싸여 있고 그 마을 중간 지역 부위에는 논밭이 있었고  그  논밭을 지나면  천수만 바다가로 연결되어 있었다.

나의 집 바로 앞에는 보리나 야채를 심어 먹을 수 있는 작은 밭이 있엇고 그 아래에는 조그마한 논이 있었고 뚝을 건너가면 야산이 있었다.

2Km 정도 야산을 넘어가면 산길을 타고 동쪽으로 가면 흐르개란 동네가 나온다.  

우리 집에서 서쪽으로 500m정도 가면  작은 할아버 집이 있었고 아래 울타리 바로  작은 인도가 있고 길로 2km 서쪽으로 가면 야산이 있었다 야산을 2km 정도 넘어가면 작은골이란 동네가 있었다. 

장등개 마을 야산. 논, 밭, 바다가에 봄이오고 여름이 오면  두릅 나물, 멍구나물, 까치발 나물, 미나리, 파래 등이 피이난. 그리고  분흥 진달래 꽃이 앞 뒷 양쪽 야산에 만발해 아름 다웠다.

 그것 뿐만 아니라 꽃이 피고, 둥글레 ,  머루 , 더덕꽃. 멩감꽃, 벗꽃,  다래 꽃, 도토리 꽃, 복숭아 꽃 등 줄줄이 핀다. 치나물을 뜨더나 무처 먹으면 참 맛 있었다 

바다가에 가면 개금 나무, 러시이 올리브 나무가 있었고, 갯펄에서 나문제가 자라고 육수와 해수가 접하는 곳에서  갈대가 자라고 있었다,

논뚝, 밭뚝  집 가에 돼지 감자, , 뗏장

논뚝이나 논물가에 미나리, 소리쟁이가 자랐.   

야산 골목 축축한 땅서 자라는 고사리, 헤침을 뜯어 먹기도 했다.

 한약 자료로 쓰는 천남성, 창출, 반하, 원추리,  육무초, 복양, 칙 등을 채집하기도 했다.

호박은 이뇨제로 썼다.

목화, , 마늘, 녹두, 담배, , 배추, 고추, , 귀리, 보리, , 호밀 등을 있다.  

 소리쟁이, 달리, 멩감, 찔레 , 소나무 꽃 등도 핀다.  

 방게, 올챙이, 망둥이, 뭇게를 구경  수도 있다.

낙지를 갯 펄 굴을 파고 잡는다.  바다 생선 살에 잡힌   오증어, 꼴뚜기. 멸치, 빈뎅이, 갈치  생선은 사다 먹고

고등 껍질을 바다 물 속에 넣고 몇일 기다르면 그 속으로 드러 간 쭈게미를 잡는다.

망둥이 낙시질 할 때 망둥이도 낚을 수 있고 장어 도 낚을 수 있고 복장이도 나끌 수 있다.

바닷 고기를 잡으려고 맨 발로  물가를 걷다가  범치에 쏘여 죽은 사람을 본 적은 없지만는 심히 아파서 며칠 동안 고생할 수 있다.

 조개, 조개, 피조개, 조개, 합조게, 맛 등을 잡아 다 었다

나는 내가 장등개 야산에서 살가지(산 고양이), 토끼, 노루,  여우, 몃돼지등  야생 수유 동물도 있었다., 

오리, 부기, 게우,  , 기러기, , 황세 , 까마기, 까지, 참새, 제비빕새   새들도 있었다

장등개 주위 야산. 밭, 돈. 바닷 가에서 자라는 식물과 조류가 있는 자연 동식물을 모아 가꾸 참 좋을 것이다.  그 지방, 안면읍 또는 군이나 나라에서 동 식물 박물관을 설립 하세요 

나물을 가저 와서 다듬어 쌀마서 어니님에게 드리면 요리 해서 식구들이 먹었다. 안면도 장등개  태생 이상원 소아과 전문의 박물관도 만들고…..

참고로 이런 동식물은  한곳에서 보기가 힘들다…..

 

When I was young, I saw plants, flowers, and seaweed growing in the fields, mountains, and sea of ​​​​Anmyeondo, Jangdeunggae.
When I was young, my father’s thatched-roof house, the mountains in front and behind, and the Cheonsuman sea were all green.

In front and behind the thatched-roof house in Anmyeondo, Jangdeunggae, where I lived until I attended Hongseong High School, there were 200-300-meter hills on both sides, fields and rice paddies in the middle. About 2km from my house, the Cheonsuman seashore was just beyond. There were 13 thatched-roof houses in Jangdeunggae Village.

I was the eldest of nine siblings.

My younger siblings, my mother, and my father never once went with me to the mountains, rice paddies, fields, or the beach to gather wild vegetables, seaweed, or catch crabs.

Neither did my parents tell me what to do.

We lived in a rural area with no library, no books to read, no playgrounds to exercise in, and no friends to play with.

Whenever I had free time, I wandered around the mountains, rice paddies, and beaches, searching for food on my own, without my parents telling me what to do.

My father, my mother, and no one in the neighborhood ever taught me how to do this or that, or what this or that was. I don’t know how I learned or grew up like that.

Neither did the other kids in the neighborhood, nor the men and women, ever go to the mountains, rice paddies, or fields with me to catch wild vegetables or bring back anything. I did everything on my own, learning and thinking.

The neighborhood elders even called me “Ddoldol” (a kind of “ttol”).

It wasn’t like my parents told me to go to the ocean to catch fish or to the mountainside infested with poisonous snakes.

When I was attending Hongseong High School and medical school, I couldn’t go to the ocean or the mountainside like I used to because I was too busy studying.

It’s not easy to write this article from the United States about the flora and fauna I encountered around my hometown of Jangdeunggae, Anmyeondo, 75-80 years ago.

Jangdeunggae (Jangdeungpo) village was surrounded by mountains on all sides, with rice paddies in the middle, and the Cheonsuman Bay seafront beyond.

Right in front of my house was a small field for barley and vegetables, below that was a small rice paddy. Crossing the embankment of the field led to the mountain ahead.

About 2 kilometers beyond the hill, if you follow the mountain path east, you will reach the village of Heureugae.

About 500 meters west of my house was a small grandfather’s house. Just below the fence below the house was a small sidewalk. About 2 kilometers west along that path, you reached a hill. About 2 kilometers beyond that hill, you reached a village called Sogeogol.

The hills of Jangdeunggae Village. Spring brings a rush of wild aralia, schisandra japonica, schisandra japonica, water parsley, and laver. And the colorful azaleas bloomed on both sides of the hill, creating a truly beautiful scene.

And not only that, but the chrysanthemums, dwarf chrysanthemums, wild cherries, deodeok flowers, magnolia blossoms, cherry blossoms, apricot blossoms, acorn blossoms, and wild peach blossoms bloomed in a cascade. Even if you boiled chinamul (a type of vegetable soup) and ate it with radish, it was delicious.

Near the sea, you’d find sedge trees and Russian olive trees. In the tidal flats, sedges grew, and where the land and sea water met, reeds grew.

On the banks of rice paddies and fields, along the edges of houses, there were sweet potatoes, mugwort, and turfgrass.

Water parsley and sedge plants grew on the banks and along the water’s edge.

They also foraged for bracken and sedge plants growing in the damp soil of the hillside alleys.

They also gathered araceae, atractylodes, pinellia, daylilies, yukmucho, bokyang, and chik, all of which were used as ingredients in herbal medicine.

Pumpkin was used as a diuretic.

Cotton, green onions, garlic, mung beans, tobacco, rice, cabbage, peppers, red beans, oats, barley, wheat, and rye were all found.

Sedge plants, mountain daffodils, menggam, wild roses, and pine flowers also bloom.

You can also see crabs, tadpoles, gobies, and mussels.

Octopus is caught by digging holes in the tidal flats. Fish like cuttlefish, cuttlefish, anchovies, minnows, and hairtails caught in the flesh of sea fish are bought and eaten.

By placing a squid shell in the seawater and waiting for a few days, you can catch the squid that has slid into the water.

When fishing for gobies, you can catch gobies, eels, and even haul out squid.

While I’ve never seen anyone die from a tiger sting while walking barefoot along the shore trying to catch fish, it can be extremely painful and last for several days.

Clams, clams, blood clams, clams, clams, and mussels are all caught and eaten.

In the Jangdeunggae mountains where I lived, there were wild animals like wild cats, hares, deer, foxes, and pigs.

There were also ducks, magpies, crows, cranes, geese, hawks, yellow-crowned cranes, crows, magpies, sparrows, swallows, and magpies.

It would be wonderful to gather and cultivate the natural flora and fauna of the mountains, fields, fields, and seasides around Jangdeunggae. The local government, Anmyeon-eup, or county, should establish a botanical and animal museum.

I would bring wild vegetables, prepare them, and give them to my mother-in-law, who would cook them and enjoy them with the whole family. Dr. Lee Sang-won, a pediatrician born in Jangdeunggae, Anmyeondo, is also creating a museum…

By the way, it’s rare to see these plants and animals in one place…

1/20/2025 upd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