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king care of his beloved wife, who had a stroke

posted in: Uncategorized | 0

Taking care of his beloved wife, who had a stroke

Preface preface
As a husband with whom I have been married for 53 years, a general doctor, and a pediatrician, I cared for my wife who suffered from a stroke 24 hours a day, 7 days a week, every day for a year.
I also learned a lot about stroke by caring for my wife with affection, sympathy, love, patience, acceptance, and ninjutsu as a family caregiver while she was receiving convalescent rehabilitation and home care after she had another stroke.
As the family caregiver of my wife, a stroke survivor, I compiled all the knowledge I had about stroke from my wife’s doctor, various recovery and rehabilitation treatment teams, various medical textbooks, stroke education pamphlets for the general public, and other stroke reference materials to create ‘My Beloved Wife Who Had a Stroke’. We are happy to present ‘Taking Care of’ to Korean Americans in the United States, the 80 million Koreans in our country and around the world.
As a husband who had been married for 53 years, as a general doctor and as a pediatrician, I took care of my wife who suffered from a stroke 24 hours a day, 7 days a week, and suffered from a stroke for a year. Also, while her wife was receiving recovery rehabilitation and home care after a stroke, I learned a lot about stroke as a family caregiver, caring for her wife with affection, compassion, love, patience, acceptance, and ninjutsu. As a family caregiver for the wife of a stroke survivor, I will cover all the knowledge about stroke gained from my wife’s doctor, various recovery and rehabilitation treatment teams, various medical textbooks, stroke education pamphlets for the general public, and other stroke reference materials . ‘While taking care of’ to Korean-Americans in the United States, their homeland and 80 million Koreans around the world.
It is the author’s wish and earnest request that stroke survivors and their families, especially family caregivers of stroke survivors, as well as Koreans of all ages and genders, read this book at least once and use it as needed.
In January 2018, my beloved wife suddenly suffered a stroke and was hospitalized for about two weeks at Hart Hospital, an acute care hospital in Hartford, Connecticut, USA. The next step is Gaylord Hospital, a hospital where stroke survivors can receive treatment. After receiving rehabilitation treatment for about 2 months and being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I have been lying on the bed in my bedroom for about a year, struggling with the disease and recovering.
Now that I think about it, before my wife had a stroke, I was an American pediatrician, but I honestly confess that I knew very little about stroke.
Dear readers, how much do you know about stroke?
Last year in November 2018, her wife was outside her house playing with her second son (her internist) out in the winter snow when she suddenly came inside her house and noticed that her left arm and leg were strange. She asked in a dull tone for me to take a look. She looked around and immediately noticed that one side of her face was already twisted, her speech was slurred, and her left limbs were paralyzed.
Her eyes were dark and surprised, she said sadly. This happened to my beloved wife.
She called 911 on her phone as an emergency. In less than three minutes, I put my wife in her ambulance, and my family and I drove to Hartford Hospital, one of the best hospitals in the country for acute stroke care.
Her right anterior lobe hemorrhage and subarachnoid cerebral hemorrhage occurred, and the diagnosis that her wife had a hemorrhagic stroke was confirmed within just an hour at the emergency room, and she was admitted to the acute emergency intensive care unit.
After that, he received emergency diagnostic treatment for acute stroke there for about two weeks and was admitted to Gaylord Hospital, the next level of treatment facility where he can receive subacute stroke treatment.
At the Chariot Seowon, I received active treatment for about eight weeks from the stroke recovery and rehabilitation team, including physical therapists, physical therapists, occupational therapists, speech therapists, clinical social workers, spiritual pastors, and nurses. I was then recommended to either be admitted to the next level facility, another skilled nursing home, or to receive a continuum of stroke recovery and rehabilitation at home. After receiving subacute recovery rehabilitation treatment, he was discharged home.

After being discharged to my home, I received treatment from the internist who referred me from the Hartford Health Network Treatment Center, and from the stroke recovery and rehabilitation treatment team that included physical therapists, occupational therapists, speech therapists, nurses, clinical social workers, housekeepers, and recreational therapists sent home from there. I continued to receive continuous treatment.
I am a pediatrician who currently holds a medical license in Korea and a medical license in the U.S. state of Connecticut. However, I do not know how best to receive medical recovery and rehabilitation treatment at home for my wife who suffered a stroke. Otherwise, she will spend months and years in a special nursing home when she fully recovers. It was difficult to decide whether it would be best to receive medical recovery, rehabilitation and nursing care until or until the time of death.
In this case,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my son and daughter’s opinions and mine as to which method would be best for her health, well-being, and happiness.
He claimed, ‘As your husband, I will take care of your mother at home,’ but the children asked how they could take good care of their mother, who was old and had a stroke, and said, ‘Your father also needs help, so should he go to a skilled nursing home or another appropriate nursing home? ‘Let’s send my mom there to continue receiving recovery and rehabilitation treatment,’ he argued.
Please let your family and friends who live in various countries such as Brazil, Korea, and the United States know about this situation.
inform their
When I asked for their opinions, they all unanimously said, “You must be suffering mentally and physically.
After continuously saying, “You must be going through a lot of hardship,” he continued, “Send him to a nursing home right away.”

This was their consistent recommendation.
You really are heartless(?)… … … …
At that time, my beloved wife was ‘the same brother’s father’ in my house!. She was in tears as she clung to me, saying, ‘I will get treatment from you in my own home, begging you to save me.’
you are right.
I decided to have my wife continue her recovery rehab at home.
After that, I did everything for my wife’s best welfare from A to Z, including the role of husband, housekeeper, housekeeper, housekeeper, cleaner, and doctor for stroke recovery and rehabilitation treatment. It has now been almost a year since I became a caregiver.
Unfortunately, the stroke recurred several times, and his health worsened, leaving him unable to even urinate and poop, and confined to bed all day.
I tried to provide First, Do No Harm ninjutsu to my beloved wife who lost her dignity, nursing her with compassion, affection, and love.
At the same time, I continued to receive direct and indirect stroke recovery and rehabilitation treatment education while receiving advice, advice, instructions, and encouragement from my wife’s doctor and stroke medical providers. I worked hard as a caregiver providing nursing and rehabilitation treatment at home.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of opinion among the family, according to my final decision, I personally treated my wife who had suffered a stroke at home and consulted literature on stroke from the Korean Stroke Association and the American Stroke Association, stroke survivors, their families, and the general public. I continued to study about stroke through educational pamphlets.
I learned that nearly a million people in the United States suffer their first stroke every year, that one in five young people suffers a stroke, and that one person suffers a stroke every 40 seconds.
Then, if the total population of Korea is 50 million people, we estimated that about 210 million people could suffer a stroke every year.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stroke survivor, but in the United States, it is said that it costs a total of $1,12,000 per week to provide acute and convalescent treatment, convalescent rehabilitation, and supportive care to one stroke survivor. The theory is that.
I also learned that one in five seniors work hard throughout their lives and should live happier lives as they enter the twilight of their lives, but one in five suffers from this serious disease and passes away.
As a doctor, I would like to mention once again that I wanted to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disease stroke to Korean Americans in the U.S., my home country of Korea, and the 80 million Koreans around the world while treating and treating my wife who suffered a stroke, recovering and rehabilitating her, and caring for her. .
I had endless thoughts of wanting to help and teach people how to prevent strokes. .
As I already said, of course you probably already know and post a lot, but I hope you read this book at least once… and I hope you recommend this book to other relatives as well.
While taking care of my wife’s stroke, I did a stroke internship and received stroke residency training, and now I feel like I have become a stroke specialist.
I wanted to shout out to people to know what the risk factors for this disease are and to change and control the risk factors for stroke to prevent them from getting this disease.
If you get this disease, I want to teach you not to waste even a second of time and get emergency diagnostic treatment at a hospital. I also want to teach you how to continue receiving recovery and rehabilitation treatment afterwards.

뇌졸중에 걸린
사랑하는 아내를 돌보면서

서문 preface
53년동안 동거동락 결혼생활을 한 남편으로서 일반의사로서, 소아과전문의로서 나는 하루 24시간 1주 7일간 하루도 빼놓지 않고 뇌졸중에 걸려 고생 고생하는 아내를 일년동안 간병했다.
또 뇌졸중에 걸린 후 아내가 회복기 재활 치료를 받는 동안 나는 가족 간병인으로서 애정, 동정, 사랑, 인내, 수용, 인술로 아내를 돌보면서 뇌졸중에 관해 많이 배웠다.
뇌졸중 생존자 아내의 가족 간병인으로서 나는 아내의 담당 의사, 각종 회복 재활 치료 팀, 각종 의학 교과서, 일반인용 뇌졸중 교육 팸플릿, 그 외 다른 뇌졸중 참고 자료에서 얻은 뇌졸중에 관한 지식을 총망라 해 ‘뇌졸중에 걸린 사랑하는 아내를 돌보면서’ 를 미국 한인 교포들, 조국과 전세계 각처 8천만 한인들에게 기쁘게 내 놓는다.
As a husband who had been married for 53 years, as a general doctor and as a pediatrician, I took care of my wife who suffered from a stroke 24 hours a day, 7 days a week, and suffered from a stroke for a year. Also, while her wife was receiving recovery rehabilitation and home care after a stroke, I learned a lot about stroke as a family caregiver, caring for her wife with affection, compassion, love, patience, acceptance, and ninjutsu. As a family caregiver for the wife of a stroke survivor, I will cover all the knowledge about stroke gained from my wife’s doctor, various recovery and rehabilitation treatment teams, various medical textbooks, stroke education pamphlets for the general public, and other stroke reference materials. ‘While taking care of’ to Korean-Americans in the United States, their homeland and 80 million Koreans around the world.
뇌졸중 생존자들과 그들의 가족들, 특히 뇌졸중 생존자의 가족 간병인들은 물론 남여노소 한인들 누구든지 이 책을 적어도 한번 읽고 필요에 따라 이용하기 바라는 것이 저자의 소원이며 간곡한 부탁이다.
2018년 1월 사랑하는 아내가 갑자가 뇌졸중에 걸려 미국 커네티컷 주 하트포드시에 있는 급성기 응급치료 병원 하트병원에 약 2주간 입원한 후 다음 단계 뇌졸중 생존자가 재뢀 치료를 받을 수 있는 병원 , 게이로드 병원에서 약 2개월 동안 재활 치료를 받고 퇴원한 후 약 1년 동안 우리 집 침실 침대에 누워 고생고생하면서 투병하다 소천했다.
지금 생각해 보니, 아내가 뇌졸중에 걸리기 전 나는 미국 소아과 전문의 이었지만 뇌졸중이란 이 병에 관해 너무도 아는 것이 없었다고 여기서 솔직하게 자백한다.
독자 여러분은 뇌졸중 관해 얼마 많이 알고 계신지요.
아내가 작년2018년 1월 달 집밖에서 둘째 아들 내과의사와 같이 겨울 눈을 치다가 갑자기 집안으로 들어 오더니 왼쪽 팔과 다리가 이상하다고 나보고 보아달라고 우둔한 말투로 요구했다. 바로 두루 살펴보니 한쪽 얼굴이 이미 삐틀어지고 말을 우둔하게하고 왼쪽 팔 다리에 마비증상이 있는 것을 즉시 발견했다.
눈이 캄캄하고 놀랐고 슬펐다. 나의 사랑하는 아내에게 이런 일이.
응급으로 119 전화를 했다. 3분도 안걸려 아내를 응급차에 태우고 우리 식구들은 내 차를 타고 미국 내 최고로 큰 병원들 중 하나인 뇌졸중 급성기 응급 치료를 할 수 있는 하트포드 병원으로 갔다.
오른 쪽 대뇌 전엽 출혈과 지주막하 뇌 출혈이 생겼고 그로 인해 아내가 출혈성 뇌졸중에 걸렸다는 진단을 그 응급실에서 불과 한 시간 내 확진 받고 급성기 응급 집중 치료 실에 입원했다.
그 후 거기서 약 2주일 동안 뇌졸중 급성기 응급 진단 치료를 받고 아 급성기 뇌졸중 치료를 받을 수 있는 다음 치료 단계 시설 게이로드 병원에 입원헸다.
거기서 약 8주간 물리치료 전문의, 물리 치료사, 작업 치료사, 언어 치료사, 임상 사회 사업가, 영적 치료 목사, 간호사 등 뇌졸중 회복재활치료팀으로부터 적극적으로 치료받았다. 그리고 나서 다음단계 시설 , 다른 숙련 간호 요양원에 입원치료 받든지 아니면 우리 집에서 뇌졸중 회복 재활 연속치료를 받으라고 권장 받았다.
우리 집으로 퇴원한 후 하트포드 헬스 넷워크 치료센터에서 소개해주는 내과 의사와 거기서 집으로 보낸 물리 치료사, 작업 치료사, 언어 치료사, 간호사, 임상 사회사업가, 가사도우미, 오락 치료사 등 뇌졸중 회복재활 치료팀으로 부터 연속치료를 계속 받았다.
나는 한국 의사면허증, 미국커네티컷 주 의사 면허증을 현재도 소지한 소아과전문의이지만 뇌졸중에 걸린 아내가 집에서 회복 재활 치료를 어떻게 받아야 가장 좋은지 그렇지 않으면 특수 간호 요양원 등에서 몇 달 몇 년 동안, 다 회복될때까지 또는 이 세상을 떠날 때까지 회복재활치료 및 간호를 받아야 가장 좋은지 결정하기가 어려웠다.
이럴 때 어떤 방법이 아내의 건강과 안녕,행복에 가장 좋은지 아들 딸들의 의견과 나의 의견에 차이가 있었다.
‘남편인 내가 집에서 너의 어머니를 간병하겠다’고 주장했지만 자녀들은 아버지는 늙었고 뇌졸중에 걸인 엄마를 어떻게 잘 간병할 수 있느냐고 물으면서 ‘아버지도 도움이 필요하니 숙련 간호 요양원이나 그외 다른 적절한 요양원으로 엄마를 보내 거기서 회복 재활 치료를 계속 받도록 하자’고 주장했다.
미국, 부라질, 한국, 미국 등 각 나라 각 지역에서 사는 가족 친지들에게 이런 사정을
알리고 그들의 의견을 물었더니 그들은 이구동성으로 “ 심신이 고달프시겠습니다.
고생을 많이 하시겠습니다” 라 는 말을 연속 하고나서 “ 당장 요양원으로 보내십시요”라는
것이 그들의 한결 같은 권고였다.
정말로 무정도 하구나(?)…………
그때 사랑하는 내 아내가 “동형 아빠” ‘나는 내집에서 당신 한테서 치료를 받겠다고 애원하면서 살려 달라’고 하면서 나 한테 매달리면서 눈물을 흘렸다.
당신 말이 맞다.
나는 내 아내를 집에서 회복 재활 치료를 계속 하기로 결심했다.
그후 나는 남편 역활, 가정부 역활, 식모 역 활, 가사도우미 역활, 청소부 역활, 뇌졸중 회복 재활치료 주치의사 역활 등 A to Z까지 아내의 최상 안녕을 위한 모든 일을 다 했다.
그러는 중 불행이도 뇌졸증이 여러번 재발해 건강 상태가 점점 더 나빠져 오줌 똥도 가리지 못하고 하루 종일 침상에 누워만 있게 되었다.
나는 품위를 갗춘 내 사랑하는 아내에게 First, Do No Harm 인술을 제공하려고 노력했다.
그러면서 아내 담당 의사와 뇌졸중 의료 제공자들의 권고, 충고, 지시, 격려를 받으면서 뇌졸중 회복 재활 치료교육을 직접 간접으로 꾸준히 받았다.
가족들 사이에 이견이 있었지만 나의 최종 결정에 따라 나 자신이 뇌졸중에 걸인 아내를 집에서 직접 치료하면서 뇌졸중에 관한 한국 뇌졸중 학회와 미국 뇌졸중 학회 문헌, 뇌졸중 생존자와 그들의 가족들과 일반인 교육용 팸플릿 등으로 뇌졸중에 관한 공부를 계속 했다.
미국에서 매년 거의 백만 명이 뇌졸중에 처음 걸려 앓는다는 것도 배웠고 어리신 5명 중 한명 꼴로 뇌졸중에 걸인다는 것도 알았고 매 40초마다 한명이 뇌졸중에 걸린다는 것도 배웠다.
그렇다면 한국 인구가 총 5천만명이라면 연간 약 20만명이 뇌졸중에 걸일 수 있을 것이란 것도 추정해 봤다.
뇌졸중 생존자에 따라 다르겠지만 미국에서는 한명의 뇌졸중 생존자의 급성기와 회복기 치료, 회복기 재활 치료, 지지 치료를 해주는데 1주 총 12,000불 정도 든다는 것도 알았다.
일생동안 열심이 일하고 인생 황혼 길에 접어들면서 보다 더 행복하게 사셔야 하는 어르신들 5명 중 1명이 이런 위중한 병에 걸려 고생하다가 이 세상을 떠난다는 것도 배웠다.
나는 의사로서 뇌졸중에 걸인 아내를 진료하고 치료도하고 회복 재활 치료 및 간병을 하면서 미국 내 한인 교포들과 나의 고국 한국과 전 세계 8 천만 한인들에게 뇌졸중이란 병에 관해 자세히 알려주고 싶었다고 또 한번 더 언급한다.
뇌졸중 발생을 예방하는 방법도 알려주고 도와주고 싶은 생각이 한 없이 났다.
이미 말씀드렸지만, 물론 여러분은 이미 많이 알고 게시겠지만 적어도 한번은 이책을 꼭 읽어보시기 바라면서. 그리고 다른 친지 분들에게도 이 책을 권장하시기를 바란다.
아내 뇌졸중을 간병하면서 뇌졸중 인턴쉽도 하고 뇌졸중 레지던트훈련도 받고 이제는 나는 뇌졸중 전문의가 된 기분이다.
평소에 이 병이 발생 위험성 인자들이 무엇인지 알아 그 뇌졸중 위험성 인자를 변화시키고 조절해서 이 병에 걸리지 않도록 예방하라고 큰 소리쳐 알려주고 싶었다.
이 병에 걸리면 1초라도 시간을 낭비하지 말고 응급 진단 치료를 병원에서 받으라고 가르치고 그 후 회복 재활치료를 계속 받는 방법도 가르쳐 주고 싶다.
뇌졸중 생존자 가족들과 가족 간병인들은 몸과 마음을 다 바쳐 가족 뇌졸중 생존자들을 잘 간병을 할 수 있게 교육시키는데도 도움을 주고 싶다.
이 병에 관해 잘 모르면 이제 이책을 통해 많이 배우고 더 정보가 필요하면 다른 뇌졸중 참고서를 통해 더 배우고 그리고 일선 의료진들이 주는 뇌졸중 교육을 통해 뇌졸중에 관해 더 많이 공부하기 바란다.
이제 이 병을 치료하는 일선 의사들, 준 의료인들, 사회, 국가, 가족 , 친지들이 뇌졸중 생존자를 돌보고 회복 재활치료를 하는 팀의 멤버가 되어 뇌졸중에 걸린 어르신들에게 사랑으로 보답해야 한다는 것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을 쓰고 있는 저 뿐만 아니라 누구든지 뇌졸중에 걸일 가능성이 25%이라고 알고 나면 누구든지 뇌졸중이란 병을 보통으로 넘길 수가 없다.
남 일이 아니라 내 일이리고 생각 해서 이 병의 원인 진단 치료 간호 재활 치료 그리고 이 병에 걸리기 쉬운 위험성 인자들이 무엇인지 알아 이 병에 걸리지 않게 미리 예방해야 한다.
이미 언급했지만, 뇌졸중 급성기 응급치료, 추적 연속 치료, 회복재활치료, 의료치료를 하는데 나는 의사로서 남편으로서 식모로서 가정부로서 간병인으로서 사랑, 동정, 존경, 책임으로 뇌졸중에 걸인 아내를 간호 치료를 하고 있으면서 다른 간병인들에게 내가 겪은 간병인 경험을 전부 알리고 싶다 .
책을 쓰다보면 부족한 점도 많고 반복된 내용도 많다. 시대와 사는 나라나 지역에 따라 이 책에서 주는 권장에 따라 뇌졸중 생존자를 돌보기가 어려운 점도 많을 것이다.
뇌졸중 생존자 뿐민 아니라 내 자신에게 뇌졸중 발병 위험성 인자가 있으면 잘 조절하고 뇌졸중에 걸리지 않게 예방하고 뇌졸중에 걸였을 때는 어떻게 대처 할 것인가를 미리 준비하는 데 도움되기 바란다.
가족 간병인은 소대변 치기, 식사를 준비하고 먹이기 등을 하는 것 이외 담담의사, 간호사, 임상 사회 사업가, 물리 치료사, 작업 치료사, 언어 치료사 등 회복 재활 치료팀의 도움을 받는데 이책은 좋은 참조 문헌이 되기를 바란다.
뇌졸중으로 생긴 장애를 회복 재활시키기 위해 회복 재활 치료한다는 것은 뇌졸중 생존자들은 물론이고 그의 자족들 특히 가족 간병인들의 정신 육체 건강 등의 회생이 따를 수 있고 때로는 우울증과 탈진 상테에 빠질 수 있고 그럴 때 어떻게 대처하는 방법도 알리고 싶다.
이런 면에서는 뇌졸중 생존자 본인들은 물론이고 그의 가족들, 담담 의사들, 뇌졸중 재활 의료 제공자들, 사회, 국가는 뇌졸중 회복 재활 치료팀의 멤버이다. 더군다나 뇌졸중에 걸인 후 생존자들에게 육체, 인지. 언어, 정신, 심리, 감정, 영적, 사회적 문제와 장애를 다 해결하는데 뇌졸중 생존자들과 그의 가족들의 힘으로만 절대로 다 해 낼 수 없다.
이런 회복 재활치료를 이상적으로 해결 해주는데는 그 가족들과 가족 간병인들을 도와주는 다른 사람들이 꼭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가족 간병이들과 가족들은 불안, 분노, 슬픔, 우울증에 빠지기도 한다.
가족들이나 뇌졸중 생존자들 자신이 이 병에 대해서 많이 알아야 하지만 이병에 관해 공부할 수 있는 일반 인용 뇌졸중 정보 자료 책은 그렇게 흔치 않다.
미국에서는 뇌졸중에 관한 영어 팸플릿은 무료로 뇌졸중 생존자와 가족 교육용으로 여기 저기서 재공하지만 뇌졸중 생존자들이나 가족들 또는 일반인들이 한 손에 들고 뇌졸중에 관해 공부 할만한 최근 한글 참고서는 찾기가 어렵다.
50여년간 의사 생활을 하는동안 거의 10여년 동안 성인 환자들을 진료한 경험에 다 수 십년 동안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로서 진료하면서 겪은 경험, 거의 일년 동안 나의 사랑하는 아내의 뇌졸중을 간호하면서 뇌졸중 간병인으로 경험한 산 지식을 모아 이 세상에 이책을 내 놓는다는 것도 또 한번 알려주고 싶다.
불행하게도 미국사회 의료체계와 조국 한국이나 세계 각나라 각처의 것은 많이 다르다. 이 책에서 권하는 대로 다 따라 갈 수는 없지만 뇌졸줄 생존자의 안녕과 행복, 회복 재활 치료의 궁극적 목적과 가족 간병인들의 영웅적 인술을 베프는데는 미국에서든 한국에서든지 다른 나라에도 큰 차이가 없다고 생각한다.
조국 한국은 이제 세계 최고 문화 경제 발전국 대열에 속하고 조국 한인들이 이 첵의 정보를 이용해 그리고 대한 뇌졸중 학회 문헌 등을 통해 뇌졸중 환자를 돌보는 데 많은 도움이 되리라고 확신 한다.
앉지도 못하고 서지도 못하고 하루 종일 누워만 있던 아내와 같은 침실에서 같은 이블을 덮고 아내의 옆에서 동숙 하면서 …….
내 아내의 78세 생일을 축하하면서 이 책을 내 아내 이춘자 약사에게 받친다 .
감사합니다.
2019년 5월

미국 소아과 전문의, 한국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이상원 올림

목차
제1장. 뇌졸중

제2장. 인간 신경계 해부도

제3장. 뇌졸중의 원인과 분류
1. 허혈성(경색성) 뇌졸중
1) 동맥경화성 허혈성 뇌졸중
2) 심장 혈전성 허혈성 뇌졸중
3) 라쿤 뇌졸중(라쿤 경색/ 열공성 경색)
4) 일과성 허혈성 뇌졸중
5) 알츠하이머병 뇌졸중
6) 파킨슨병 뇌졸중
7) 뇌혈관 아밀로이드 침착으로 생길 수 있는 뇌졸중
2. 출혈성 뇌졸중과 분류
1) 대뇌 내출혈성 뇌졸중
2) 지주막하 출혈성 뇌졸중
3) 대뇌동정맥 기형 출헐성 뇌졸중
4) 동맥류 출혈성 뇌졸중
5) 약물, 뇌 외상, 뇌 내상, 출혈성 혈액 질환 등으로 생긴 출혈성 뇌졸중

제4장. 뇌졸중의 역학

1. 미국인 뇌졸중의 역학
2. 한국인 뇌졸중의 역학

제5장. 뇌졸중 발생 위험성 인자
1. 바꿀 수도 없고 조절할 수도 없는 뇌졸중 발생 위험성 인자
2. 바꿀 수 있거나 조절할 수 있는 뇌졸중 발생 위험성 인자
3. 미국 사람들의 뇌졸중 발생 위험 인자와 기존 병과 습관
4. 구체적 뇌졸중 발생 위험 인자들
1) 바꿀 수도 없고 조절할 수도 없는 뇌졸중 발생 위험성 인자
2) 바꿀 수도 있고 조절할 수도 있는 뇌졸중 발생 위험성 인자
(1) 고혈압
(2) 당뇨병
(3) 목에 있는 경동맥이나 뇌저 동맥 또는 그 외 동맥에 생긴 병이 있으면 뇌졸중 발생 위험성이 있다
(4) 심방세동이나 그 외 심장병은 뇌졸중 발생 위험성 인자이다
(5) 어떤 혈액병은 뇌졸중 발생 위험성 인자가 된다
(6) 흡연
(7) 일과성 허혈성 뇌졸중
(8) 고콜레스테롤 혈증
(9) 신체적 운동 부족과 비만은 뇌졸중의 위험성 인자가 된다
(10) 알코올을 과량 섭취, 마약 남용하면 뇌졸중 발생 위험성 인자
(11) 미국 사람 뇌졸중 발생 위험성 인자, 기존병과 습관

제6장. 뇌졸중의 증상
1. 좌뇌 손상으로 생긴 뇌졸중이 있을 때 흔한 증상
2. 우뇌 손상으로 생긴 뇌졸중이 있을 때 흔한 증상
3. 뇌졸중 생존자에 흔히 생기는 감정의 변화
4. 반신마비
5. 반신 감각장애
6. 운동 실조
7. 시력장애, 시각과 지각 장애
8. 복시
9. 연하장애
10. 치매
11. 어지럼증
12. 의식 장애
13. 식물 인간 상태
14. 두통
15. 생각 장애
16. 뇌졸중 생존자의 근육에 생긴 변화
17. 신경 장애
18. 신경학적 뇌졸중 회복
19. 뇌졸중 생존자의 근육의 힘
20. 신체 균형장애
21. 언어 기능 장애
1) 실어증
2) 구음장애
3) 행위 상실증(실행증)
(1) 구두 실행증
(2) 입술 실행증
22. 인지 기능 장애
23. 운동 기능 장애
24. 감각 기능 장애
25. 방광, 배뇨, 배변조절 장애
1) 신경성 요실금
2) 소변 정체
3) 요로 감염
4) 대변을 싼다
5) 변비
26. 연하장애
27. 스스로 먹지 못하는 뇌졸중 생존자에게 음식물 먹이기
28. 기분과 감정 장애
1) 뇌졸중 생존자 우울증
2) 불안감
3) 기분 변화
4) 무기력
5) 건전한 자존심 상실
29. 깊은 정맥 혈전증
30. 환각
31. 섬망
32. 수면 문제와 뇌졸중 생존자
33. 뇌졸중으로 인한 경련

제7장. 뇌졸중 진단
1. 병력을 듣고 신체검사
1) 현재 병의 주증, 현재, 과거, 가족 병력을 들어본다
2) 일반 신체검사와 신경계 신체검사를 머리부터 발끝까지 자세히 한다
2. 혈액 검사
3. 컴퓨터 단층 뇌촬영술
4. 컴퓨터 단층촬영 혈관조영술
5. 자기공명 뇌영상검사
6. 자기공명 뇌영상 혈관조영술
7. 경동맥 초음파 영상 검사
8. 대뇌혈관 조영상
9 심장 초음파검사

제8장. 뇌졸중 치료
1. 허혈성 뇌졸중 응급 혈관 내 수술치료술
1) 동맥관 내 혈전 용해제 치료
2) 동맥관 내 핏덩이 제거와 스텐트 치료
3) 경동맥 내막 절제술 치료
4) 혈관 성형술과 스텐트 치료
2. 출혈성 뇌졸중 응급 치료
3. 뇌졸중 생존자 고혈압치료와 예방
1) 고혈압의 정의
2) 고혈압의 원인
3) 어떤 사람에게 고혈압이 더 잘 생길 수 있나
4) 나의 혈압이 비정상적으로 높은지 어떻게 아나
5) 고혈압을 치료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나
6) 고혈압이 있으면 어떻게 하나
7) 고혈압 약물 치료
8) 어떻게 고혈압을 정상 혈압으로 낮출 수 있나
9) 어떻게 정상 체중을 정상적으로 유지하나
10) 소금(염분) 섭취를 어떻게 제한할 수 있나
11) 알코올 섭취를 어떻게 제한할 수 있나
12) 어떻게 육체적 활동과 육체적 운동을 하나
13) 고혈압을 약물로 치료한다
14) 고혈압 치료 약물이란
15) 고혈압을 약물로 치료받을 때 알아야 할 것
16) 고혈압 약물을 제때에 섭취하려면 어떻게 하나
17) 고혈압 치료 약물들은 어떤 것이 있나
(1) 이뇨제
(2) 베타차단제
(3) 혈관확장제
(4)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5) 안지오텐신 Ⅱ 수용체 차단제
(6) 칼슘 통로차단제(칼슘길항제)
18) 고혈압 치료약물의 부작용
19) 고혈압 치료, 약물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이고 흔한 부작용
4. 아밀로이드 뇌혈관병성 뇌졸중 치료
1) 아밀로이드 뇌혈관병성 뇌졸중의 증상
2) 아밀로이드 뇌혈관병의 위험성 인자
3) 아밀로이드 뇌혈관병의 원인
4) 아밀로이드 뇌혈관병의 진단
5) 아밀로이드 뇌혈관병성 뇌졸중 치료
5. 뇌졸중 생존자용 상비약품, 치료용 의료기구
6. 그 외 뇌졸중 외과적 혈관 교정수술 치료
1) 외과적 묶음 (클립핑) 치료
2) 코일링 치료
3) 동정맥 기형 제거
4) 입체 뇌 수술 방사능 치료
5) 뇌졸중 수술치료의 결과
7. 뇌졸중 생존자를 위한 대처치료와 지지치료
1) 뇌졸중 생존자들의 정신 육체적 장애가 완전 회복되기 어렵다
2) 실행하기 어렵지만 집을 나와 다른 사람들을 만나라
3) 지지집단에 가입해 새친구들을 만나고 사귀고 서로 도와 준다
4) 나만 뇌졸중에 걸린 것이 아니다
5) 뇌졸중 생존자와 대화한다
6) 담당 의사의 진료를 받으러 간다
7) 담당 의사로부터 무슨 치료를 받을 수 있나 알아본다
8) 흡입성 폐렴을 예방한다
8. 뇌졸중 생존자를 위한 영양분
1) 소금 섭취를 줄인다
2) 콜레스테롤 섭취를 줄인다
(1) 고콜레스테롤과 트라이글리세라이드(중성지방) 섭취를 조절한다
(2) 콜레스테롤은 건강에 나쁜가
(3) 어떻게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조절하나
(4) 혈중 콜레스 테롤 농도를 낮추기 위해 섬유질 섭취를 늘린다
(5) 오메가3 지방산을 충분히 섭취한다
(6) 중성 지방(트러이글리세라이드)이란
(7) 지방의 종류
(8)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
(9) 콜레스테롤 정상 혈중 농도
(10) 어떤 종류의 혈지방 농도를 알아야 하나
(11) HDL 콜레스테롤
(12) LDL 콜레스테롤
(13) 트라이글리세라이드(중성지방)
(14) 혈중 고콜레스테롤 농도를 어떻게 정상 농도로 유지하나
(15) 어떤 종류의 음식물이 심장 건강에 좋은 음식물인가
(16) 제한해야 하는 음식물
(17) 음식물을 요리할 때 여러 종류의 과일과 채소류를 첨가한다
(18)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출 수 있는 약물
(19) 어떤 종류의 고콜레스테롤 치료 약물을 처방받을까
(20) 스타튼 약물치료 대신 다른 약물치료도 할 수 있다
9. 항혈액응고제와 항혈소판제
1) 항혈액응고제 치료
2) 항혈액응고제의 부작용
3) 항혈소판제 치료
10. 뇌졸중 생존자 재활 치료팀
1) 재활치료란 무엇인가
2) 재활 치료팀과 멤버
(1) 물리치료 전문의
(2) 물리치료사
(3) 작업요법사
(4) 재활 치료 간호사
(5) 언어 치료사
(6) 오락 치료사
(7) 정신과전문의와 임상심리 전문가
(8) 작업 재활 카운슬러
(9) 임상 요리사
(10) 임상 사회사업가
(11) 목사나 신부
(12) 음악 치료사
(13) 그 외

제9장. 뇌졸중 생존자가 재활치료를 받을 수 있는 가정이나 요양원
1. 숙련 간호 재활 시설
2. 뇌졸중 생존자의 가정 재활 치료
3. 뇌졸중 생존자 회복
4.뇌졸중생존자 재활치료
5. 뇌졸중 생존자 가정 재활 치료와 요양원 재활치료
1) 가정 재활 치료
2) 외래 재활치료 진료소
3) 장기 급성 치료 병원
4) 아급성 재활 치료 시설
5) 특수 간호 전문 요양원
6) 연장 간호 재활 요양원
7) 뇌졸중 재활치료 요양원

제10장. 뇌졸중 생존자 고식적 치료와 사랑 호스피스 돌봄
1) 사랑 호스피스 돌봄
2) 고식적 치료

제11장. 뇌졸중 합병증과 치료
1. 뇌졸중 생존자에게 생길 수 있는 흔한 합병증
ㆍ뇌부종
ㆍ폐렴
ㆍ요로감염
ㆍ경련
ㆍ우울증
ㆍ욕창
ㆍ팔다리가 수축
ㆍ어깨통증
ㆍ다리 심층 정맥 혈전증
ㆍ연하곤란증
ㆍ심장마비 또는 심장부전
ㆍ낙상
ㆍ망상
ㆍ시력 이상
2. 뇌졸중 생존자에게 다음과 같은 합병증이 생기나 관찰한다
3. 뇌졸중 합병증 치료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삼키기 곤란(연하곤란)
2) 요로감염
3) 경련
4) 뇌졸중 생존자 영양 부족
5) 위장 출혈
6) 심장 건강 문제
7) 욕창
8) 신체 균형과 낙상
4. 다음 경우는 뇌졸중 생존자에게 낙상 위험성이 많다
5. 뇌졸중 생존자가 낙상하면 ·199
6. 뇌졸중 생존자가 낙상한 후 일어나기
7. 균형문제나 낙상문제가 있으면

제12장. 뇌졸중 생존자에게 뇌졸중 재발 예방하고 건강하기

제13장. 뇌졸중 가족 간병인 역할
1. 뇌졸중 가족 간병인은 자신을 어떻게 보살펴야 하나
2. 가족 간병인의 구체적 간병 역할
3. 가족 간병인은 자신을 어떻게 보살펴야 하나
4. 미국 가족 간병인 협회 성공적 가족 간병 12가지 팁
5. 가족 간병인의 소진상태 번아웃 상태 치료
6. 가족 간병인 탈진 상태 번아웃 증상
7. 가족 간병인이 탈진상태에 빠지지 않게 하는 방법
ㆍ 가족 간병인 우울증 치료
ㆍ 가족 간병인 걸린 우울증의 증상 진단
8. 가족 간병인은 뇌졸중 생존자가 회복기에 뇌졸중에 또 걸리지 않게 간병해준다
◈ 한국 간병인 실태

제14장. 뇌졸중 생존자를 위한 가정 안전사고 예방점검
1. 뇌졸중 생존자의 일반적인 가정 안전사고 예방 조건
2. 뇌졸중 생존자 이상적인 가정 안전사고 예방 권장
3. 뇌졸중 생존자가의 가정 재활치료를 위한 이상적인 침실 점검
4. 뇌졸중 생존자, 거실 안전사고 점검 예방점검
5. 뇌졸중 생존자의 이상적 화장실 목욕탕, 샤워실 안전점검
6. 뇌졸중 생존자를 위한 이상적인 화장실, 목욕통, 샤워실 안전사고 예방 권장
7. 뇌졸중 생존자를 위한 이상적인 부엌 안전사고 예방점검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