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tional News, Parents Should Be One-Half Doctors 부모는 반은 의사여야 합니다

posted in: Uncategorized | 0

National News

Parents Should Be One-Half Doctors

부모는 반은 의사여야 합니다

존 이상원 박사

Dr. John Sangwon Lee

The man known as the “Korean Dr. Spock” has helped tens of thousands of parents by giving them advice on how to care for their children, but regrets that he is getting through to only a small percentage of the 70 million Korean-speaking people in the world.

Dr. John Sangwon Lee, a pediatrician who has written the first comprehensive Korean pediatric encyclopedia of more than 1,000 pages, wants the entire world to know about his Web site, which offers free medical advice on topics ranging from nursing infants to how to deal with adolescents fighting depression.

If parents have questions, he answers them by e-mail, again free of charge.

“This is not about money. I make nothing from this,” says Dr. Lee, who is 69, retired, and living in Willimantic, Connecticut in the United States. “It is about helping people, and it is about love. I do it because this is what I want to do.”

The Web site is http://my.dreamwiz.com/drslee 

,  Now drleepediatrics,com

. It is written in Korean.

What Dr. Lee is doing is compelling. He is trying to help Korean-reading parents have an opportunity to raise their children in the best manner possible. He is passionate about his pursuit and is more than willing to tell his story to newspapers, magazines and other media outlets. He believes there are millions of parents who could benefit from his home page, but know nothing about it. With your cooperation, he can get the word out and help hundreds of thousands of children.

Any media representative wishing to set up an interview with Dr. Lee should e-mail him at leesangwonmd@yahoo.com. His telephone number in the United States is 860-456-4347. Also he is sincerely hoping that someone could join him to fulfill the exciting pediatric lay-people education task to help Koreans.

In all the world, he says, there is considerable poverty and people don’t always have ready access to a physician’s care.

His entire 21-chapter book, “Home Medical Care for Newborns, Infants, Children and Adolescents,” is included on the site. The book, if purchased alone, would cost $80. On his home page – which he opened in 2001 – the entire contents are free, in addition to information gathered from other sources.

Lee, although retired, spends as much as six to eight hours a day updating the site with the latest medical information and answering questions from parents through e-mail. At one time, he received as many as 10 e-mail questions a day. It is now even down to zero a day. His wife, Chunja, tells him why: “She tells me they don’t need to ask you questions. You already have given them the answers on your home page.”


Dr. John Sangwon Lee with his wife

The information deals with wide-ranging topics and, as an index on the site proves, it deals with “everything from a to z.” It offers advice on how to deal with pregnancy, labor and colicky infants. It says what to do when children come down with fevers, measles and allergies. There is a chapter on emergencies, and topics include what to do and how to do if children are bitten by dogs or snakes. For parents dealing with adolescents, there are sections dealing with depression, sex education and drug abuse. And much more.

The site includes more than 6,000 pictures, depicting a range of medical conditions. There are also colorful, close-up pictures of flowers which provide a bonus, as photography is one of his hobbies.

Lee, who is from Susan, Chungnam in South Korea, stresses that his advice can help parents and their children considerably, but cannot replace the need for visits to pediatricians.

“This is not perfect,” he says of his home page. “It doesn’t have everything. But for what parents want to know, there is something here. This can be used for reference. But it cannot replace your own doctor’s advice.”

Lee, in Korean newspapers, has been referred to as “The Father of the Korean Children.” A humble man, he says it is an honor to have his name mentioned in the same sentence as the late Dr. Benjamin Spock, the American who has been lauded for his work in pediatric medicine. And, like Dr. Spock, he believes that love is the foundation for all child care.

He says Koreans often have trouble expressing themselves. He says there is less tender touching and eye contact in that culture than in America.

“Children often ask, ‘Do you love me?’ And the parent says, ‘Of course I love you.’ But what many of them are doing is giving conditional love. Real love is unconditional. So a lot of people really love their children, but don’t know how to show it. I say that love is essential. Everybody needs love.”

Lee, a father of three, devotes a section of his book to the need for loving, nurturing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 cry sometimes when I write this,” he says. “The tears come out. Of all things, this – love – is the most important. We must show that we really love our children.”

Lee received his medical degree at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in Seoul in 1963 and served the rural healthcare and army medical corps in Korea for 5 years. He came to America in 1968 to complete an internship program at Manchester Memorial Hospital. He recalls landing on U.S. soil with $40 in his pockets. He completed his pediatric residency training at the University of Connecticut, the Yal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nd Norwalk Hospital.

He moved to Willimantic in 1973, the same year he became American board-certified in pediatrics. He practiced at Willimantic, Connecticut. He has cared for hundreds of thousands of children in that community – many of them poor – until his retirement in 2001. He immediately got started on his home page, and that, in essence, has become a second career.

His home page is popular, as evidenced by him receiving more than 16,000 thank-you notes from Korean parents. Most of the “hits” on his home page have come from Korea, but they also have been registered by Korean-reading parents in more than 50 countries. Still, Lee isn’t satisfied.

“There are so many people out there who care about their children and want to do the right thing,” he says. “Parents should be one-half doctors, but they are not. Parents must study to rear their children. They can’t just depend upon letting nature do it alone.”

Lee says one problem is that the people who most need his advice – the poor – don’t have easy access to it. This, he says, is because many of them can’t read or don’t own computers. So they find it difficult to benefit from his home page. He is hoping to develop, with the help of others, an outreach program that can make his advice available even in the small, poverty-stricken villages of South Korea.

North Korea is an even more difficult challenge. “It is a most difficult problem,” Lee says of the situation. “The answers are not easy.”

Lee has received a large number of awards for his achievements. He was named Korean of the year in Connecticut in 2003, and has been listed among American’s top physicians by a number of national organizations and publications in the United States.

He says his work is not about promoting himself. It is about promoting his home page, so that millions of Korean-speaking parents can gain critical knowledge about child care.

“I want,” he says, “more than anything to help get the information they need to help their children. I am a citizen of the United States, but I want to help Koreans all over the world. What I have to offer is advice that parents can use in their everyday lives.”

(Lee’s photographs are available on requested.)

부모는 반은 의사여야 합니다

존 이상원 박사
“한국의 스포크 박사”로 알려진 그는 수만 명의 부모들에게 자녀 양육에 대한 조언을 해주며 도움을 주었지만, 전 세계 7천만 명의 한국어 사용자 중 소수에게만 도움이 된다는 점에 안타까움을 표합니다.
1,000페이지가 넘는 최초의 한국어 소아과 백과사전을 집필한 소아과 의사 존 이상원 박사는 영유아 수유부터 우울증과 싸우는 청소년 대처법까지 다양한 주제에 대한 무료 의학적 조언을 제공하는 자신의 웹사이트를 전 세계 사람들에게 알리고 싶어 합니다.
부모들이 궁금한 점이 있으면 그는 이메일을 통해 무료로 답변해 드립니다.
“이것은 돈 문제가 아닙니다. 저는 이 일로 아무것도 얻지 못합니다.”라고 미국 코네티컷주 윌리맨틱에 거주하는 69세의 은퇴한 이 박사는 말합니다. “사람들을 돕는 것, 그리고 사랑에 관한 것입니다. 제가 하고 싶은 일이기 때문에 하는 것입니다.”
웹사이트는 http://my.dreamwiz.com/drslee,  Now drleepediatrics,com이며, 한국어로 작성되었습니다.
이 박사님의 활동은 매우 흥미롭습니다. 그는 한국어를 구사하는 부모들이 자녀를 최선의 방식으로 양육할 기회를 갖도록 돕고 있습니다. 그는 자신의 열정을 신문, 잡지, 그리고 다른 언론 매체에 기꺼이 전하고 있습니다. 그는 자신의 홈페이지를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수백만 명의 부모들이 있지만, 그에 대해 아무것도 모른다고 생각합니다. 여러분의 협조가 있다면, 그는 이 소식을 널리 알리고 수십만 명의 아이들을 도울 수 있을 것입니다.
이 박사님과의 인터뷰를 원하시는 언론 담당자는 leesangwonmd@yahoo.com으로 이메일을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미국 내 전화번호는 860-456-4347입니다. 또한 그는 한국인들을 돕기 위한 흥미로운 소아과 비전문가 교육 과제에 함께 참여해 주실 분을 진심으로 바라고 있습니다.
그는 전 세계적으로 상당한 빈곤이 존재하며, 사람들이 의사의 진료를 쉽게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말합니다.
그의 21장짜리 저서 “신생아, 영아,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가정 의료”는 이 사이트에 모두 수록되어 있습니다. 이 책만 따로 구매하면 80달러가 듭니다. 2001년에 개설한 그의 홈페이지에서는 다른 출처에서 수집한 정보를 포함하여 모든 콘텐츠가 무료로 제공됩니다.
이 씨는 은퇴했지만, 최신 의료 정보로 사이트를 업데이트하고 이메일을 통해 부모들의 질문에 답하는 데 하루 6~8시간을 보냅니다. 한때는 하루에 10통이나 되는 이메일 질문을 받았지만, 지금은 그 수가 하루 0건으로 줄었습니다. 그의 아내 춘자는 그 이유를 이렇게 말합니다. “아내는 더 이상 질문할 필요가 없다고 하더군요. 이미 홈페이지에 답변을 올렸잖아요.”

존 상원 리 박사와 그의 아내
이 정보는 광범위한 주제를 다루고 있으며, 사이트 색인에서 알 수 있듯이 “A부터 Z까지 모든 것”을 담고 있습니다. 임신, 분만, 그리고 영아 산통에 대한 조언도 제공합니다. 아이들이 열, 홍역, 알레르기에 걸렸을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려줍니다. 응급 상황에 대한 장이 있으며, 아이들이 개나 뱀에 물렸을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 등의 주제가 있습니다.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들을 위해 우울증, 성교육, 약물 남용에 대한 내용도 있습니다. 그 외에도 다양한 주제가 있습니다.
이 사이트에는 다양한 질병을 묘사한 6,000장 이상의 사진이 있습니다. 사진 촬영이 그의 취미 중 하나인 만큼, 화려한 꽃 클로즈업 사진도 보너스로 제공됩니다.
충남 수산 출신인 리 박사는 자신의 조언이 부모와 아이들에게 상당한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소아과 방문을 대신할 수는 없다고 강조합니다.
그는 자신의 홈페이지에 대해 “이 페이지는 완벽하지 않습니다.”라고 말합니다. “모든 것을 다 갖춘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부모들이 알고 싶어 하는 것을 여기에 담았습니다. 참고 자료로 사용할 수는 있지만, 의사의 조언을 대신할 수는 없습니다.”
이 씨는 한국 신문에서 “한국 아이들의 아버지”로 불렸습니다. 겸손한 그는 소아과 의학 분야에서 찬사를 받은 미국인 벤저민 스포크 박사와 같은 문장에 자신의 이름이 언급되는 것을 영광으로 생각합니다. 그리고 스포크 박사처럼 그는 사랑이 모든 육아의 기본이라고 믿습니다.
그는 한국인들이 종종 자신을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고 말합니다. 미국보다 한국 문화권에서는 부드러운 접촉이나 눈맞춤이 적다고 말합니다.
“아이들은 종종 ‘나 사랑해?’라고 묻습니다. 그러면 부모는 ‘당연히 사랑해.’라고 대답합니다. 하지만 많은 부모들이 조건부 사랑을 베풉니다. 진정한 사랑은 무조건적입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자녀를 진심으로 사랑하지만,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 모릅니다. 저는 사랑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누구에게나 사랑이 필요합니다.”
세 아이의 아버지인 이 씨는 자신의 책에서 부모와 자녀 사이의 사랑스럽고 양육적인 관계의 필요성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이 글을 쓰다 보면 가끔 눈물이 나요.”라고 그는 말합니다. “눈물이 나요. 무엇보다도 사랑이 가장 중요합니다. 우리는 아이들을 진심으로 사랑한다는 것을 보여줘야 합니다.”
이 씨는 1963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의학 학위를 받았습니다.

이 선생은 1963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의학 학위를 받고 5년간 한국에서 농촌 의료 및 군 의무대에서 복무했습니다. 그는 1968년 맨체스터 메모리얼 병원에서 인턴십 프로그램을 마치기 위해 미국으로 건너왔습니다. 그는 주머니에 40달러만 들고 미국 땅에 도착했던 때를 회상합니다. 그는 코네티컷 대학교, 예일대학교 의과대학, 그리고 노워크 병원에서 소아과 레지던트 수련을 마쳤습니다.
그는 1973년 미국 소아과 전문의 자격을 취득한 해에 윌리맨틱으로 이주했습니다. 그는 코네티컷주 윌리맨틱에서 진료했습니다. 그는 2001년 은퇴할 때까지 그 지역의 수십만 명의 아이들을 돌보았는데, 그중 상당수는 빈곤층이었습니다. 그는 즉시 홈페이지를 시작했고, 이는 사실상 제2의 직업이 되었습니다.
그의 홈페이지는 인기가 많은데, 한국 부모들로부터 16,000장이 넘는 감사 편지를 받았다는 사실이 이를 증명합니다. 그의 홈페이지 조회수는 대부분 한국에서 나왔지만, 50개국 이상의 한국어를 구사하는 부모들도 등록했습니다. 하지만 이 씨는 여전히 만족하지 못합니다.
“자녀를 아끼고 옳은 일을 하려는 사람들이 너무나 많습니다.”라고 그는 말합니다. “부모는 의사처럼 행동해야 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부모는 자녀를 키우기 위해 공부해야 합니다. 자연에 맡겨둘 수는 없습니다.”
이 씨는 자신의 조언이 가장 필요한 사람들, 즉 가난한 사람들이 쉽게 도움을 받을 수 없다는 것이 문제라고 말합니다. 그는 많은 사람들이 글을 읽지 못하거나 컴퓨터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자신의 홈페이지를 통해 도움을 받기 어렵다고 말합니다. 그는 다른 사람들의 도움을 받아 한국의 작고 가난한 마을에서도 자신의 조언을 접할 수 있는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북한은 훨씬 더 어려운 문제입니다. 이 씨는 북한 상황에 대해 “정말 어려운 문제입니다.”라고 말합니다. “답은 쉽지 않습니다.”
이 씨는 그의 업적으로 수많은 상을 수상했습니다. 2003년 코네티컷에서 올해의 한국인으로 선정되었고, 미국 내 여러 국가 기관과 출판사에서 미국 최고의 의사 중 한 명으로 꼽혔습니다.
그는 자신의 활동이 자신을 홍보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홈페이지를 홍보하여 ​​수백만 명의 한국어 사용 부모들이 육아에 대한 중요한 지식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저는 무엇보다도 자녀를 돕는 데 필요한 정보를 얻는 데 도움을 드리고 싶습니다. 저는 미국 시민이지만, 전 세계 한국인들을 돕고 싶습니다. 제가 드릴 수 있는 것은 부모들이 일상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조언입니다.”
(이 씨의 사진은 요청 시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