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시(사팔이/사팔뜨기)-1
|
미숙아(Prematurity)
|
태아 알코올 증후군(Fetal alcohol Syndrome)
|
망막아세포종(Neuroblastoma)
|
중추신경계 병(Diseases of central nervous system)
|
두부 외상(Head trauma)
|
뇌 외상(Brain trauma)
|
눈 혈관종(Ocular hemangioma)
|
두개 유합증(Craniosynostosis)
|
아파트 증후군 (Apert syndrome)
|
눈안 증후군(Noonan syndrome)
|
다운 증후군(Down syndrome)
|
선천성 풍진 증후군(Congenital rubella syndrome)
|
뇌성 마비(Cerebral palsy)
|
알라질 증후군
(Alagille Syndrome) |
그레이브스 병(Graves disease)
|
근시(Nearsightedness/myopia)
|
원시 (Farsightedness/hyperopia)
|
난시(Astigmatism)
|
안검 종양(Palpebral tumor)
|
안구나 안와에 있는 병(Ocular or Orbital disease)
|
당뇨병(Diabetes mellitus)
|
눈 외상(Eye trauma)
|
뇌 신경마비(Cranial nerve paralysis)
|
알비니즘( 알비노현상/ 백피증/Albinism)
|
근 무력증(Myasthenia gravis)
|
라임병(Lyme disease)
|
모바우스 증후군(Mobius syndrome)
|
키아리 기형(키아리 기형, Chiari malformation)
|
코넬리아 드랑게 증후군 (Cornelia de Lange syndrome)
|
엘러스–단로스증후군
(Ehlers-Danlos syndrome) |
선상 모반 피지선 증후군(Linear nevus sebaceous syndrome)
|
프라더 윌리 증후군(Prader-Willi syndrome)
|
루빈스타인–테이비 증후군(Rubinstein-Taybi syndrome)
|
스미스–렘리–오피쯔 증후군(Smith-Lemli-Opitz syndrome)
|
트리처 콜린스 증후군(Treacher Collins syndrome)
|
터너 증후군이란(Turner syndrome)
|
윌리엄스 증후군
(Williams syndrome) |
색소 실조증
(Incontinentia pigmenti) |
뇌량 무형성(Agenesis of corpus callosum)
|
참고문헌: Consultant for pediatricians, January 2008, p13와 다음에 있는 “인터넷
소아, 청소년 건강상담 질의응답의 예입니다”와 그 외
Copyright ⓒ 2011 John Sangwon Lee, M.D. FAAP
● 그림 13-14에서 보는 것처럼 한쪽 안구에 6개의 안구 근육이 붙어 있다.
● 두 안구에 총 12개의 안구 근육이 붙어 있다.
● 두 눈으로 어떤 물체를 볼 때 12개의 안구 근육이 서로 조화 있게 같이 움직여 보려고 하는 물체가 있는 방향으로 두 안구를 조화 있게 움직여 그 물체를 똑바로 보고 한 개의 영상을 뇌에서 만드는 것이 정상이다.
● 안구의 위와 아래, 좌와 우에 붙어 있는 4개의 안구 근육, 그리고 안구의 위와 아래에 비스듬히 붙어 있는 2개의 안구 근육, 모두 합쳐 총 6개의 안구 근육이 한 개의 안구에 붙어 있다.
● 한 개의 안구에 붙은 6개의 안구 근육 중 어느 한 개의 안구 근육이 정상 안구 근육의 힘보다 비정상적으로 더 약하거나 더 셀 때,
● 위나 이래 쪽 안구 근육의 길이가 그쪽 안구의 반대 방향에 있는 위나 아래 쪽 안구 근육보다 더 짧거나 길 때 사시가 생기게 된다(15, 16 아래 그림 참조).
● 예를 들면, 한쪽 안구에 붙어 있는 6개의 안구 근육 중 안구의 귀 쪽에 붙은 근육의 힘이 비정상적으로 약하고 그 쪽 안구의 코 쪽에 있는 안구 근육의 힘이 정상일 때, 그 안구는 정상 안구 근육이 붙은 쪽으로, 즉 이 경우, 코가 있는 쪽으로 쏠리게 되어 내 사시가 생긴다(그림 16).
▴ 그림 13. 왼쪽 안구에 있는 근육, 한쪽 안구에 6개의 안구 근육이 정상적으로 붙어 있다.
Copyright ⓒ 2011 John Sangwon Lee, M.D. FAAP
▴ 그림 14. 오른쪽에 있는 안구근육, 한쪽 안구에 6개의 안구 근육이 정상적으로 붙어 있다.
Copyright ⓒ 2011 John Sangwon Lee, M.D. FAAP
▴ 그림 15. 오른쪽 눈이 코 있는 쪽으로 쏠려 오른쪽 눈에 내 사시가 생겼다.
Copyright ⓒ 2011 John Sangwon Lee, M.D. FAAP
▴ 사진 16. 오른쪽 눈이 코 있는 쪽으로 쏠려 오른쪽 눈에 내사시가 생겼다
소스- 2011 Courtesey, Dr. Maynard B. Wheeler
● 또는 한쪽 안구의 귀 쪽에 붙은 안구 근육이 비정상적으로 더 짧지만 그 안구 근육이 있는 정반대 쪽에 붙은 안구 근육보다 힘이 더 셀 때는 비정상적으로 더 짧고 더 힘센 안구 근육이 붙은 쪽, 즉 귀 쪽으로 그 안구가 쏠리게 되어 그 눈에 외 사시가 생길 수 있다.
그림 17. 힘이 더 센 안구 근육이 붙어있는 쪽으로 안구가 쏠리어 사시가 생긴다. 내사시가 왼쪽 눈에 생겼다.
출처-Copyrightⓒ 2001 John Sangwon Lee,MD.FAAP
● 아래 그림 17과 같이, 귀 쪽에 붙은 안구 근육이 그 안구의 코 쪽에 붙은 안구 근육의 힘보다 더 약할 때는 오른쪽 안구가 코 쪽으로 끌어당겨져 안구가 코 쪽으로 쏠리게 되어 그 눈에 내 사시가 생긴다.
● 그림 15, 16과 같이, 왼쪽 눈의 6개의 안구 근육은 다 정상이다. 왼쪽 안구는 어느 한 쪽으로도 쏠리지 않고 정상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렇지만 오른쪽 안구의 6개 안구 근육 중 귀 쪽에 붙은 안구 근육의 힘이 그 안구의 코 쪽에 붙은 안구 근육보다 더 약하다. 따라서 오른쪽 안구가 코 쪽으로 쏠리게 된다. 이 때 오른쪽 안구에 내 사시가 나타나게 된다. 그래서 두 눈으로 한 개의 물체를 볼 때 두 안구가 조화 있게 정상적으로 움직일 수 없다.
● 12개의 안구 근육들 중 한 개나 그 이상 여러 개가 비정상적으로 더 약하게 되는 원인은 많다.
● 그 중 50%는 유전성이다. 드물게는 안구 근육에 분포된 제 3뇌신경, 제 4뇌 신경, 또는 제 6뇌신경의 마비나 신경이 손상 됐을 때 안구 근육에 마비현상이 생겨 사시가 생길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생긴 사시를 마비성 사시라 한다.
● 안구 근육에 마비가 없이 생긴 사시를 비마비성 사시라고 한다.
● 드물게는 근무력증, 보툴리즘, 갑상성 기능 항진증 등으로 안구 근육 이상이 생겨 사시가 생길 수 있다.
■ 신생아 사시 현상
Neonatal strabismus appearance
● 사시의 증상은 나이, 사시의 정도와 종류, 원인 등에 따라 다르다.
● 신생아들이나 영아들의 눈에 실제로 사시가 없는 데 한쪽, 또는 양쪽 눈이 어느 한쪽 방향으로 일시적으로 쏠려 사시가 있는 것처럼 사시 현상이 생길 수 있다.
● 신생아들의 신체의 모든 근육들이 정상적으로 미약한 것처럼 신생아들의 안구 근육들도 미약하기 때문에 두 안구가 서로 조화 있게 잘 움직일 수 없는 것이 정상이다.
● 신생아들의 안구에 실제로 사시가 없는데도 일시적으로 사시 증상 징후가 나타날 수 있다. 이런 사시를 신생아 사시(Neonatal strabismus) 현상이라고 한다.
● 이와 같이 실제로는 사시가 없는데 사시가 있는 것처럼 보이던 신생아의 눈이 생후 3~4주 정도 지나면 양쪽 안구 근육들이 서로 조화 있게 잘 움직일 수 있게 되고 신생아 사시 현상이 잘 생기지 않는다.
● 신생아 사시 현상이 2~4 개월 이후 그냥 나타나거나 생후 2~4개월 이전이라도 친 부모형제 자매 중 사시가 있거나, 신생아의 눈에 다른 이상이 함께 있거나 걱정이 되면 단골 소아청소년 의사와 상담 한 후 안과전문의 확진을 받는 것이 적절하다(소스; Contemporary pediatrics, January, 2008. P18).
● 신생아기부터 사시가 있고, 사시의 증상 징후가 나타날 수 있다. 신생아에게 사시가 있다고 의심하면 의사에게 문의해야 한다.
● 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제6권 신생아 성장 발육 융아 및 질병- 신생아가 사시가 있는 것 같은데요. 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 제18권 소아청소년 이비인후과 질환-코 뿌리가 납작한 코 참조.
■ 사시의 증상 징후
● 사시가 있는 눈으로 물체를 보려고 할 때 그 안구가 어느 한 쪽으로 쏠리고, 사시가 있는 쪽 눈 흰자위가 사시가 없는 정상 눈의 흰자위 보다 더 많이 보일 수 있다.
● 경미한 사시를 가지고 있을 때 힘이 약한 안구 근육에 무의식적으로 힘을 더 많이 주어 그 안구 근육이 정상 안구의 근육과 조화 있게 움직여 사시가 없는 것처럼 안구를 움직일 수 있다. 그 때문에 사시의 증상 징후가 잘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 그러나 피곤하거나 아플 때는 안구 근육이 피로해지고 양쪽 안구의 전체 안구 근육의 힘이 야하게 된다.
● 이때 원래부터 약한 안구 근육이 있는 쪽 정 반대쪽에 붙어있는 정상 안구 근육이 있는 쪽으로 안구가 끌려가게 된다. 그 때 그 눈에 사시 현상이 현저하게 더 나타나게 된다.
● 어떤 물체를 정확하게 보기 위해서는 두 눈에 있는 12개의 안구 근육이 조화 있게 동시 움직여야 한다.
● 그렇지만 사시가 없는 정상적인 두 눈으로 어떤 물체를 볼 때도 두 눈이 조금씩 다른 각도에서 물체를 조금씩 달리 보고, 각 눈이 본 물체의 영상은 조금씩 다른 영상으로 뇌에 나타난다.
● 일반적으로 두 안구를 거쳐 들어온 두 영상을 뇌는 하나로 종합해서 그 물체를 선명한 한 개의 입체적 영상으로 만든다.
● 이렇게 두 정상 눈으로부터 들어온 한 개의 물체의 각 영상을 뇌 속에서 하나의 영상으로 종합해서 한 개의 입체적 영상으로 만드는 과정으로 그 물체의 입체감을 인지할 수 있고 그 물체가 얼마나 멀리 있는지 얼마나 가까이 떨어져 있는지 인지할 수 있다. (그림 18 참조).
● 심한 사시가 있을 때 한쪽 안구 근육, 또는 양쪽 안구 근육이 조화 있게 협력해서 움직이기가 어렵게된다(그림 18 참조).
그림18. 두 눈으로 한 개의 물체를 정상적으로 본 후 뇌 속에서는 두 눈으로 본 두 개의 영상을 한 개의 영상으로 종합한다.
출처-Copyrightⓒ 2001 John Sangwon Lee,MD.FAAP
그림19. 사시가 있는 왼쪽 눈으로 본 한 개의 물체 영상은 희미하게 보일 수 있고 정상 눈으로 본 영상은 뚜렷하게 보인다.
출처-Copyrightⓒ 2001 John Sangwon Lee,MD.FAAP
그림 20. 사시가 있는 눈으로 한 개의 물체를 보고 있는 데 뇌 속에 두 개의 영상이 동시에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제로는 하나인 물체가 두 개의 물체로 보이는 것을 복시라고 한다.
Copyright ⓒ 2011 John Sangwon Lee, M.D. FAAP
그림 21. 사시가 있는 왼쪽 눈이 본 물체는 뇌에서 정상적으로 인지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왼쪽 눈의 시력이 약화될 수 있다. 이런 시력을 약시라고 한다. 더 심할 때는 그 쪽 눈의 시력이 상실될 수 있다. 이런 시력을 시약아라고 한다.
Copyright ⓒ 2011 John Sangwon Lee, M.D. FAAP
● 그래서 사시가 없는 정상 눈은 어떤 물체를 똑바로 볼 수 있지만 사시가 있는 눈은 코 있는 쪽이나 귀 있는 쪽, 눈 위쪽이나 눈 아래쪽으로 쏠려 물체의 입체감, 거리감을 제대로 인지 할 수 없다.
● 이 때 정상 눈이 인지한 물체의 영상은 뇌 속에서 뚜렷하게 인지될 수 있지만, 사시가 있는 눈이 본 물체의 영상은 뇌 속에서 희미하게 인지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뇌는 두 영상을 한 개로 종합해서 하나의 영상으로 만들어 낼 수가 없다(그림 19 참조).
● 사시가 있을 때 두 눈으로 한 개의 물체를 보지만 한개 물체가 두 개로 보일 수 있다. 이것을 복시라고 한다 (그림 20 참조).
● 사시가 있는 눈으로 어떤 물체를 볼 때 뇌는 희미한 영상을 만들 수 있다. 따라서 그 물체는 희미하게 보일 수 있다.
● 사시가 있는 눈은 처음 얼마 동안은 복시 현상, 희미한 영상 등 문제를 해결해서 정확히 잘 보려고 노력하다가 이런 불편을 더 이상 극복할 수 없을 때는 사시가 있는 눈으로 더 이상 무엇을 보려고 노력하지 않고 주로 정상 눈으로만 보려고 한다.
● 더 시간이 지나가면, 사시가 있는 눈으로 더 이상 무엇이든지 보지 않고 사시 없는 정상 눈으로만 보게 된다.
● 이 때 사시가 있는 눈을 게으른 눈(Lazy eye)이라고 부른다.
● 이 게으른 눈으로 더 오랫동안 보지 않을 때 사시가 있는 눈의 시(각)신경의 기능이 점차로 퇴화될 수 있다. 결국 게으른 눈이 물체를 보고 그 물체의 영상의 거리감과 입체감을 뇌가 조금도 인지하지 못하게 된다.
● 이때 그쪽 눈의 시력이 점점 더 약화되어 결국은 그 눈으로 전혀 볼 수 없게 된다. 이런 결과로 생긴 약한 시력을 약시 또는 시약(Amblyopia)이라고 한다(그림 21 참조).
● 이런 약시를 가진 눈의 각막과 렌즈에는 큰 병변이나 변화가 생기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 사시로 인해 약시가 생긴 눈을 조기에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그 눈은 영구히 완전히 멀게 된다.
● 시력 상실을 하게 하는 원인 중 가장 흔한 원인이 약시다.
● 이렇게 사시를 조기에 진단하여 치료하지 않으면 중대한 시력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 사시의 진단
● 병력, 증상 징후와 진찰소견을 종합해서 진단한다.
● 갓 태어나서부터 영유아기, 학령기, 사춘기를 거쳐 성인으로 성장될 때까지 모든 아이들이 소아청소년과나 클리닉에서 소아 건강검진을 주기적으로 받을 때 근시, 난시 또는 사시 등이 있나 눈에 다른 이상이 있나 진료 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 소아청소년(0~18세)들이 소아 건강검진을 받을 때마다 눈과 시력검사를 기본적으로 받아야 한다.
● 일부 사시는 유전으로 생긴다.
● 친 부모 형제자매들 중 누구에게 사시가 있으면 다른 형제자매들에게도 사시가 있을 가능성이 많다.
● 친 부모형제 자매들 중 누구에게 사시가 있으면 그 집안 다른 아이들에게 사시가 있나 조심히 관찰해야 한다.
● 사시가 있다고 의심하면 소아 건강검진을 받을 때 부모는 의사에게 그 사실을 알려 주어야 한다.
● 아이에게 있는 심한 사시는 특별히 진찰하지 않고 그냥 눈을 보고 사시가 있는 것을 진단할 수 있다.
● 그러나 경미한 사시가 있을 때는 사시현상이 확연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 사시가 뚜렷하게 나타난다든지, 사시가 있다고 의심될 때 소아청소년과에서 머리부터 발끝까지 세밀한 진찰을 받고 의사의 소개를 받아 안과 전문의의 확진을 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 신생아들이나 영유들에게도 사시 현상이 나타날 수 있지만 사시는 생후 2~3세 경에 더 현저히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 두 눈 사이에 있는 코 뿌리 뼈가 있는 비교(Nasal bridge)가 잘 발육되지 않아 코 뿌리가 납작하고, 더 넓고, 눈에 몽고인 추벽이 굵고 크게 생겼을 때 가성사시가 생길 수 있다.
● 실제로는 사시가 없는 눈에 사시가 있는 것 같이 보이는 경우를 가성사시, 또는 유사사시라고 한다.
● 이런 종류의 가성사시를 가진 아이가 점점 더 성장할 때 코 뿌리에 있는 뼈가 더 높아지고 커지면서 가성사시는 자연히 없어진다. 소아가정간호 백과 제18권 코 뿌리가 납작한 코 참조,
● 어느 때든지 시력에 이상이 있는 것 같으면 안과 전문의나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에게 문의해야 한다.
■ 영유아의 시력검사
● 태어나서 2~3세가 될 때까지 시력검사표로 정확하고 자세한 시력을 검사할 수 없어도 다른 여러 가지 방법으로 영유아들의 시력을 어느 정도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고 대략 시력이 어떤지 가늠할 수 있다.
● 2~3개월 된 영아의 앞에다 작은 장난감을 갖다 놓으면 그 영아는 장난감을 보고 좋아하고 손으로 잡고 놀려고 한다. 영아가 장난감이 있는 쪽으로 얼굴을 돌리거나 장난감을 손으로 잡으려고 한다.
● 엄마를 보고 웃든지 무엇을 손으로 잡으려고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 이런 여러 종류의 눈의 발육 이정표로 영아들의 시력을 검사할 수 있다.
● 0~18세 소아청소년 건강검진을 받을 때마다 눈 검사와 시력검사를 받고,
● 3세나 그 이상이 되면 1년에 적어도 한 번 정도 눈 검사를 받고 시력검사표로 시력을 검사 받아야 한다.
● E 시력검사표로 시력검사를 받을 때 일부 유아들은 E 시력검사표를 잘 읽을 수 없다.
● 이럴 때는 E 시력검사표 대신 유치원 아이 그림 시력검사표 등으로 시력검사를 받을 수 있다.
● 어느 때든지 시력 이상이 있는 것 같으면 안과전문의나 소아청소년과에 문의해야 한다.
■ 사시의 치료
● 사시가 있는 아이의 나이, 사시의 원인과 정도 등에 따라 치료한다.
● 사시가 있다고 진단 받았을 때 시력이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고 시력에 따라 치료한다.
● 사시를 일으키는 약한 안구 근육을 튼튼하게 운동시켜서 사시를 치료할 수 있다.
● 사시가 없는 정상 눈에 안대를 대어 사시를 치료하거나
● 안경으로 치료 하거나,
● 사시가 있는 안구 근육을 수술 해 사시를 치료 할 수 있다.
● 사시를 언제, 어떻게 치료해야 가장 좋은지 마지막 결정은 안과전문의의 권장에 전적으로 맡겨야 한다.
● 일반적으로 사시가 있다는 것을 확실히 진단 받은 후 사시를 안경이나 안대, 또는 수술로 치료하든지,
● 앞서 설명한 여러 가지 사시의 치료 방법들 중 두세 가지 치료 방법을 함께 사용해서 치료해 줄 수 있다.
● 사시를 치료하는 방법에 대하여 다음 좀 더 자세히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 안대( 눈 가리기)로 사시를 치료한다.
▴ 사진 22. 왼쪽 눈에 외사시가 있다
소스- Courtesey, Dr. Maynard B. Wheeler
▴ 사진 23. 외사시를 안대로 치료할 수 있다
소스- Courtesey, Dr. Maynard B. Wheeler
● 사시가 있는 눈에 약시가 항상 생기는 것은 아니다.
● 그렇지만 심한 사시를 제 때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시력이 극도로 나빠져 약시가 생기고
● 그 약시를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약시가 결국 실명으로 이어지고 눈이 먼다.
● 사시가 있는 눈에 약시가 생기지 않도록 예방적 치료를 하기 위해 건강하고 정상 눈에 안대를 얼마 동안 대어 사시가 있는 눈으로 물체를 보도록 치료한다.
● 안대로 사시를 치료해 주는 방법을 가장 많이 쓰는 사시치료이며 사시치료의 효과도 대단히 좋다.
● 그렇지만 이 방법으로 사시를 치료해도 사시가 완치되지 않는다.
● 사시를 안대로 치료할 때 정상적인 눈에 안대를 대고 사시 있는 눈으로만 얼마 동안 볼 수 있게 치료할 때 정상적인 눈에 안대를 대면 사시가 있는 눈은 온갖 힘을 다 해서 물체를 똑바로 보려고 노력을 한다.
● 그 때문에 사시로 약시가 이미 생겼던 눈이나 약시가 생기려고 하던 사시 있는 눈에 정상 시력이 다시 생길 수 있다.
● 의사의 지시에 따라 사시가 없는 정상적인 눈에 안대를 몇 주 동안 댔다가 다시 시력검사를 해보고, 필요하면, 그 후 의사의 지시대로 정상 눈에 안대를 계속 더 대어 사시를 치료한다. 그 다음 적절한 때 사시를 적절한 다른 치료를 할 수 있다.
● 아이가 어릴 때 사시를 안대로 치료하면 치료효과가 아주 좋다.
● 6~7세 이후 사시를 처음 진단 받았을 때 대부분의 사시가 있는 눈의 시력이 이미 상당히 나빠져 있기 때문에 그 눈에 약시가 심하게 생겨 있을 수 있다.
● 그래서 그 눈의 시력이 완전히 회복될 수 없는 때가 많다.
■ 사시 안대 치료를 할 때 부모가 알아야 할 사항
● 두 눈 중 사시가 없고 잘 볼 수 있는 정상 눈에 안대를 대기 때문에 아이는 처음 얼마 동안 잘 볼 수 없고 사시가 있고 약시인 눈으로만 물체를 보아야 한다.
● 그래서 처음 안대 치료를 하는 동안 눈에 안대를 대고 다니기를 싫어한다.
● 그 외 다른 이유로 안대 대는 치료를 많이 싫어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어떤 아이는 성한 눈에 댄 안대를 자꾸 떼어버린다.
● 어떤 부모도 안대 대는 치료 효과를 잘 모르고 의사의 지시에 협조하지 않을 수 있다.
● 처음 치료를 시작한 얼마 동안 불편해도 그 환아 자녀 자신이 시력이 점점 회복되는 것을 느끼게 되고 안대를 대어 치료 하는 이유를 알게 되면 안대를 더 이상 떼 내지 않을 것이다.
● 때로는 안대 대어 치료를 절대로 하지 않으려는 아이도 가끔 있다.
● 이때는 안대에 그림을 그려 주는 등 다양한 방법을 써서 의사가 처방한 대로 안대 대는 치료를 한다.
● 온갖 노력을 다 해도 안대 대는 치료를 계속 할 수 없을 때는 안과 전문의와 상의해서 다른 방법으로 사시를 치료해야 한다.
● 의사의 지시 없이 부모 마음대로 정상 눈에 댄 안대를 떼서는 절대로 안 된다. 사시가 있는 눈에 생긴 약시가 회복될 기회를 영원히 잃어버리고, 그 눈이 평생 동안 멀 수 있기 때문이다.
■ 사시를 안경으로 치료한다.
● 두 눈으로 어떤 물체를 볼 때, 두 눈이 동시 본 물체의 영상은 각막과 렌즈를 통해서 망막으로 보내진다.
● 이 때 눈은 렌즈를 크고 작게 적절히 변화시킨다.
● 즉 렌즈를 잘 조절(Accomodation)해서 본 물체의 영상을 망막으로 보낸다.
● 그렇지만 사시가 있는 눈이 본 물체의 영상은 본 그대로 망막으로 보내질 수 없는 때가 많다. 이런 사시는 안경으로 치료한다.
● 사시를 안경으로 치료할 때도 사시를 근본적적으로 치료할 수 없다.
▴ 사진 24. 왼쪽 눈에 내사시가 있다
Courtesey, Dr. Maynard B. Wheeler 제공
▴ 사진 25. 사시를 안경으로 치료할 수 있다
Courtesey, Dr. Maynard B. Wheeler 제공
■ 눈 수술로 사시를 치료한다.
▴ 사진 26. 양쪽 눈에 내사시가 있다
Courtesey, Dr. Maynard B. Wheeler 제공
▴ 사진 27. 어떤 종류의 사시는 사시수술로 치료한다.
Copyright ⓒ 2011 John Sangwon Lee, M.D. FAAP
안구근육 수술로 사시를 치료하는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다.
안구에 붙어 있는 안구 근육들 중 비정상적으로 더 강하고 더 짤막한 안구 근육이 있으면 그 안구 근육의 힘을 주리기 위해 그 강한 안구 근육을 느슨하게 하는 수술을 해 사시를 치료한다.
즉 좌우나 상하 대층 안구 근육 중 힘이 더 센 안구 근육의 정반대 쪽에 붙은 안구 근육의 힘과 거의 같은 힘을 갖게 안구 근육을 수술해 근육 힘을 동등 하게 조절 해 준다.
● 즉 힘이 약한 안구 근육을 수술해서 정상 안구 근육의 힘과 동등하게 만드는 수술치료를 한다.
● 사시를 수술로 치료해 줄 때 거의가 한 번 사시수술로 사시가 완치될 수 있지만, 어떤 때는 사시 수술을 두세 번 정도 해야 완치될 수 있다.
● 어떤 때는 사시가 있는 안구 근육을 수술해서 한쪽으로 쏠리는 안구를 정상 위치로 돌아가게 할 수 있지만 이미 생긴 약시는 수술치료로 완전히 회복시킬 수 없는 때도 있다.
● 수술로 사시를 치료해 준 이후에도 안대 대는 치료나 안경 사시치료를 동시 해 주어야 할 때도 있다.
● 또 사시수술 치료를 받은 이후 의사의 지시에 따라 눈과 시력을 주기적으로 검진 받아야 한다.
다음은 “사시의 원인, 종류, 치료”에 관한 인터넷 소아청소년 건강상담 질의응답의 예 입니다.
Q&A. 사시의 원인, 종류, 치료에 관해
Q.
안녕하세요! 아이에게 무슨일이 생길때마다 이렇게 선생님께 문의 드리네요. 정말 고맙습니당. 다름이 아니오라 저희 아들 12개월된 남자아이 입니다. 쌍둥이라 제와절개로 36(1일)만에 태어났습니다. 쌍둥이치곤 아주 건강하세 낳았고요 2.6 2.8kg으로 낳았습니다. 산부인과 의사선생님께서도 아주 건강하고 칭찬도 해주셨는데. 여태껏 병원한번 안가고 예방접종외엔…건강했었는데… 제가 볼땐 잘 모르겠는데, 친정 엄마게서 아이가 눈이 한쪽바깥쪽으로 흩어진다고 계속 말씀을 하셔서 안과를 다녀왔습니당. 사실 이런건 믿기지 않아 제가 오히려 안믿고 싶어서 그런건지도 모르죠. 근데 “간헐성 사시” 인거 같다고 말씀을 하셨거든여?
수술을 받아야 한다고 말씀을 해주시고,,,제가 사는 곳이 경기도 안양인데 이곳 병원에서는 수술 할수있는 병원이 없다고 말씀을 하시더군요,,,아이가 쌍둥인데 어찌 한 아이만 이런지…
또 “간헐성 사시”가 유전인가여? 집안엔 사시가 업다고 들었는데.. 정말 답답합니다.
선생님 “간헐성사시”는 어떤 경우에 오는 것이며…어떻게 정말 수술밖에 치료방법이 없는것인지…알고 싶습니다. 부모되는것이 이렇게 어려운것인지 몰랐습니다.
A.
트윈님
● 안녕하세요. 또 질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질문입니다. 사정상 답변을 늦게 들여 죄송스럽습니다. 사실상 저는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이기 때문에 사시에 관한 의학지식이 안과 전문의에게 비하면 거의 없습니다.
● 사시의 원인 종류에 관한 정보가 이미 있지만 다음 다시 설명하겠습니다.
● 다음은 안과 참고서를 읽고 답변 드립니다.
● 불일치 사시(Incomitant strabismus)란 말은 있지만 간헐성(Intermittent)사시라는 병명을 찾을 수 없습니다.
● 혹시 교대성 사시(Alternating strabismus)를 의미하시는지요.
● 교대성 사시는 불안전 표현 율로 나타나는 체염색체 유전병입니다.
● 더 자세한 것은 안과에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다음 사시 정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사시(Strabismus)-2
● 양쪽 눈의 시선이 보려고 하는 물체로 향하지 않는 상태를 사시라고 한다.
● 사시가 심하면 양쪽 눈이 본 영상이 망막 중심와에서 하나의 영상으로 융합되지 않게 될 수 있다. p.000 사시-1 참조
● 이런 사시를 가지고 있으면 무엇을 보았는지 잘 인지할 수 없어 시력에 혼동이 생길 수 있고, 한 물체가 두 물체로 보이는 복시가 생길 수 있고 약시도 생길 수 있다.
● 가령 왼쪽 눈에 심한 사시가 있고 오른쪽 눈은 정상이면 오른쪽 눈의 시선은 보려고 하는 물체로 향하지만 왼쪽 눈의 시선은 그 물체로 향하지 않게 될 수 있다.
■ 사시의 종류
p.00 참조
1. 선천성 사시와 후천성 사시
● 타고 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사시를 선천성 사시라고 한다.
● 생후 어떤 원인으로 인해 생긴 사시를 후천성 사시라고 한다.
2. 연령에 따른 사시 분류.
① 신생아 생리적 사시(신생아 사시): 신생아들에게 사시가 실제로 없는 데 눈알이 밖으로 일시적으로 정상적으로 돌아가서 외 사시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눈이 코 있는 쪽으로 일시적으로 정상적으로 쏠려서 내 사시 현상이 생길 수 있다.
또 양쪽 눈이 정상 위치로 있을 수 있다. 이렇게 생긴 사시를 신생아 생리적 사시(신생아 사시)라고 한다. 이런 신생아 생리적 사시는 생후 2~4개월에 자연히 없어진다.
② 영아 사시; 신생아 생리적 사시는 생후 2~4개월 이후 더 이상 나타나지 않는 것이 정상이고 안구가 위치가 정상적으로 돌라가는 것이 정상이다. 그러나 영아기(생후 29일~첫돌까지) 때 실제 생긴 사시를 영아 사시라고 한다.
③ 소아 사시: 어떤 원인으로든 1세 이후 아이들에게 생기는 사시를 소아 사시라고 한다.
④ 성인 사시: 굴절 이상, 눈의 외상, 뇌 종양, 성인병, 갑상선 기능 항진증 등으로 성인들에게 생기는 사시를 성인 사시라고 한다.
3. 눈알(안구)이 쏠린 방향에 따라 사시분류.
① 내 사시: 눈알이 코 있는 쪽으로 쏠린 사시
② 외 사시 : 눈알이 귀 있는 쪽으로 쏠린 사시
③ 상 사시 : 눈알이 위쪽으로 쏠린 사시
④ 하 사시 : 눈알이 아래쪽으로 쏠린 사시
4. 사시의 정도, 증상 징후에 따라 사시 분류.
1). 잠복사시
Heterophoria
● 건강 상태가 아주 정상일 때는 사시가 나타나지 않지만 어떤 일로 피로하거나 아프거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거나 어떤 조건하에서만 나타나는 사시를 잠복사시라고 한다.
● 잠복사시는 비교적 흔히 볼 수 있으며 일시적으로 복시가 생길 수 있고 눈에 피로, 두통 등의 증상 징후가 동반될 수 있다.
2). 이방시(이방 사시)
Heterotropia
● 두 눈으로 한 개의 물체를 볼 때 사시로 인해 두 개의 영상이 하나로 융합되지 않고 정상 눈으로만 물체를 계속 보게 되고 사시가 있는 눈으로 물체를 보지 않는 경향이 생긴다.
● 이런 상태의 사시를 이방시라고 한다.
● 이 때 쓰지 않는 눈에 약시가 생기기 쉽다.
3). 교대성 사시
Alternating strabismus
● 사시가 없는 정상 눈과 사시가 있는 눈으로 물체를 교대로 보는 사시를 교대성 사시라고 한다.
● 교대성 사시가 있을 때는 사시 각이 크고 일정하고 양쪽 눈의 시력이 같다.
4). 수반성 사시
Comitant strabismus(concomitant strabismus)
● 물체를 볼 때 안구가 비정상적인 방향으로 항상 쏠려 있는 사시
① 조절 사시 : 굴절 이상으로 인해 생긴 사시를 조절사시라고 한다.
② 비 조절 사시 : 굴절 이상이 없이 생긴 사시를 비 조절사시라고 한다.
5). 마비 사시
① 마비성 사시(비공동성 사시) :
안구 근육에 분포되어 있는 외전신경(제 6뇌신경)이나 도드래신경(제 4뇌신경) 등의 마비로 오는 사시
② 비 마비성 사시(공동성 사시) : 안구 근육에 분포되어 있는 신경이 마비되지 않고 생긴 사시
■ 사시의 원인
① 안구 근육 마비성 사시 : 안구 근육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이 마비되거나 약할 때 안구 근육 마비성 사시가 생길 수 있다.
예를 들면 안구의 상사근이나 외전근의 마비가 생겨도 사시가 생길 수 있다.
② 선천성 안구 근육 이상으로 비 마비성 사시가 생길 수 있다.
③ 굴절 이상 -원시 등 눈의 굴절 이상으로 인해서 사시가 생길 수 있다.
④ 선천적 원인 -시신경(시각신경/제 2 뇌신경) 발육부진, 망막 이상, 선천적 백내장, 각막 이상 등으로 인해서 사시가 생길 수 있다.
⑤ 후천성 원인 -안구 종양, 감염병, 어떤 원인으로 한쪽 시력이 나빠질 때나 양쪽 시력이 나빠질 때, 갑상선 항진증 등으로 사시가 생길 수 있다.
⑥ 눈안 증후군, 모비우스 증후군, 양성 제 6 뇌신경 마비, 브라운 증후군, 파리노우드 증후군 등으로 인해서 사시가 생길 수 있다.
⑦ 코뿌리가 납작하고 몽고인 추벽이 있으면 가성 사시가 생길 수 있다.
■ 사시의 진단
● 증상 징후 진찰을 종합해 진단할 수 있다.
● 사시의 각이 커서 눈이 현저히 얼굴 바깥쪽으로나 안쪽으로 또는 상·하 방향으로 많이 쏠리면 육안으로 보고 사시가 있는지 쉽게 진단할 수 있다.
● 사시가 있다고 의심되면 의사에게 문의 진단 받는다.
● 소아청소년과에서는 두 눈에 전등불을 비칠 때 양 눈에 생긴 불빛 반사를 보고 쉽게 진단할 수 있다.
■ 사시의 치료
● 시력을 가능하면 정상으로 또는 거의 정상으로 유지하는 데 초점을 두고 치료한다.
● 백내장, 약시, 굴절 이상 등 사시의 원인과 사시의 정도에 따라 수술, 안경, 안대 등으로 조기에 적절히 치료한다.
● 사시가 시신경 이상, 망막 중심오목 이상 등으로 생기면 사시 치료가 불가능할 수 있지만 미관상으로 흉할 때는 사시를 성형 수술할 수 있다.